[역사예술] 역사 예술 문화 경영 574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자가격리 시대의 전화위복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자가격리 시대의 전화위복 (daum.net)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자가격리 시대의 전화위복 [서울신문]작가 이병주(1921~1992)는 부산 ‘국제신보’ 주필로 활동하다가 1961년 5·16 때 필화사건으로 혁명재판소에서 10년 선고를 받았고 복역 중 감형돼 2년 7개월 만에 출소했다. ‘중립통일’ news.v.daum.net 작가 이병주(1921~1992)는 부산 ‘국제신보’ 주필로 활동하다가 1961년 5·16 때 필화사건으로 혁명재판소에서 10년 선고를 받았고 복역 중 감형돼 2년 7개월 만에 출소했다. ‘중립통일’을 주장하는 논설을 썼다가 반공법 위반으로 걸려든 것이다. 출옥 후 1965년 중편 ‘소설 알렉산드리아’로 화려하게 등단한다. 소설의 무대를 지중해..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진짜와 가짜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진짜와 가짜 (daum.net)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진짜와 가짜 [서울신문]영화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2015) 초반에는 해리(콜린 퍼스)가 에그시(태런 에저턴)에게 전설적 국제비밀정보기구 ‘킹스맨’의 설립 자금이 어떻게 조성됐는지 설명하는 장면 news.v.daum.net 영화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2015) 초반에는 해리(콜린 퍼스)가 에그시(태런 에저턴)에게 전설적 국제비밀정보기구 ‘킹스맨’의 설립 자금이 어떻게 조성됐는지 설명하는 장면이 나온다. 제1차 세계대전으로 전 세계 권력자들 상당수가 후계자를 잃었고 그 결과 엄청난 돈이 주인을 잃게 된다. 그 자금을 바탕으로 ‘킹스맨’이 설립돼 대의를 위해 쓰인다는 내용이다. 영화 줄거리는 물론 허구..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번역청을 설립하자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번역청을 설립하자 (daum.net)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번역청을 설립하자 [서울신문]기네스북은 세계 최고의 기록들을 모은 책이다. 아일랜드의 기네스 양조회사 창립자 아서 기네스(1725~1803) 백작의 4대손 휴 비버경은 1955년 기네스북을 출간했다. 세계 최초, 최고, 최 news.v.daum.net 기네스북은 세계 최고의 기록들을 모은 책이다. 아일랜드의 기네스 양조회사 창립자 아서 기네스(1725~1803) 백작의 4대손 휴 비버경은 1955년 기네스북을 출간했다. 세계 최초, 최고, 최대 등 대중의 흥미를 끌 만한 기록들을 수록한다. 그러나 역사가들의 관점은 기네스북과는 사뭇 다르다. 그들은 ‘최초, 최고, 최대’보다는 ‘사회와 역사를 어떻게 변화시켰..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고난의 역사에서 부러움의 대상으로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고난의 역사에서 부러움의 대상으로 (daum.net)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고난의 역사에서 부러움의 대상으로 [서울신문]함석헌(1901~1989)은 ‘뜻으로 본 한국역사’에서 조선말 우리의 처지를 ‘늙은 갈보’에 비유했다. “스스로 제 운명을 개척하고 사람 노릇 하자는 생각이 없고 오늘은 이놈에게, 내일 news.v.daum.net 함석헌(1901~1989)은 ‘뜻으로 본 한국역사’에서 조선말 우리의 처지를 ‘늙은 갈보’에 비유했다. “스스로 제 운명을 개척하고 사람 노릇 하자는 생각이 없고 오늘은 이놈에게, 내일은 저놈에게 붙어 그때그때 구차한 안락을 탐했다.” 수구·개화, 친일·친청, 친러·친미로 갈라져 서로 싸우던 상황을 빗댄 표현이다. 그러다 결국 이놈에게도..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독서의 추락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독서의 추락 (daum.net)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독서의 추락 [서울신문]몇 해 전 무궁화호 열차 안. 앞자리의 승객이 스마트폰을 보면서 소리 없이 손짓을 열심히 하고 있었다. 뭔가 하고 지켜봤더니 영상통화를 하면서 수어로 대화를 나누는 중이었다. 청 news.v.daum.net 몇 해 전 무궁화호 열차 안. 앞자리의 승객이 스마트폰을 보면서 소리 없이 손짓을 열심히 하고 있었다. 뭔가 하고 지켜봤더니 영상통화를 하면서 수어로 대화를 나누는 중이었다. 청각장애인 두 분이 스마트폰을 매개로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이분들에게 영상시대는 축복이다. 영상시대가 좋기만 한 건 아니다. 미국 작가 레이 브래드버리가 1953년 펴낸 ‘화씨 451’은 500년 뒤(25세기) ..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건강한 전통과 병든 전통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건강한 전통과 병든 전통 (daum.net)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건강한 전통과 병든 전통 [서울신문]명절이 되면 텔레비전에서 ‘외국인 장기자랑’ 같은 프로그램을 방영하곤 한다. 오래전 설날 텔레비전에서 봤던 장면이 잊히지 않는다. 사회를 맡은 방송인 임성훈이 외국인 참가자 news.v.daum.net 명절이 되면 텔레비전에서 ‘외국인 장기자랑’ 같은 프로그램을 방영하곤 한다. 오래전 설날 텔레비전에서 봤던 장면이 잊히지 않는다. 사회를 맡은 방송인 임성훈이 외국인 참가자에게 물었다. “한국의 전통 가운데 뭐가 가장 인상 깊었나요?” 그 외국인은 조금도 망설이지 않고 “대중목욕탕”이라고 답했다. 사회자 얼굴에 당혹스러운 표정이 잠깐 스쳤다. 기대했던 답이 아니라는 ..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나이가 뭐길래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나이가 뭐길래 (daum.net)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나이가 뭐길래 [서울신문]거리에서 싸움이 났다. 한쪽이 반말을 하자 대뜸 상대방이 쏘아붙인다. “야, 너 몇 살이야?” 누가 잘했고 잘못했는지는 나중 문제고, 우선 나이부터 따진다. “민증 꺼내 봐!” 싸움 news.v.daum.net 거리에서 싸움이 났다. 한쪽이 반말을 하자 대뜸 상대방이 쏘아붙인다. “야, 너 몇 살이야?” 누가 잘했고 잘못했는지는 나중 문제고, 우선 나이부터 따진다. “민증 꺼내 봐!” 싸움 도중 주민등록증 보자는 사람도 있다. 젊은 세대는 나이 한 살 차이로도 선후배를 가르고 상하 위계를 만든다. 심지어 같은 나이에도 생일이 이른지 늦은지로 기어이 위아래를 나누고 만다. 유교 전통사회의..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중세 유럽의 흑사병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중세 유럽의 흑사병 (daum.net)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중세 유럽의 흑사병 [서울신문]크림반도의 항구도시 카파는 동서양 교역의 접점이다. 이 도시를 3년간 포위했던 몽골군은 1346년 물러나면서 선물을 남긴다. 병에 걸려 죽은 군사들의 시체를 투석기로 성벽 안에 던 news.v.daum.net 크림반도의 항구도시 카파는 동서양 교역의 접점이다. 이 도시를 3년간 포위했던 몽골군은 1346년 물러나면서 선물을 남긴다. 병에 걸려 죽은 군사들의 시체를 투석기로 성벽 안에 던져 넣은 것이다. 흑사병은 그렇게 성 안으로 침투했다. 성에 피신해 있던 제노바 상인들이 본의 아니게 균의 전파자가 됐다. 이듬해 여름 이들이 고향으로 향하며 들른 지중해 항구마다 환자가 속출했..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종교와 상식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종교와 상식 (daum.net)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종교와 상식 [서울신문]일제강점기 기독교사상가인 김교신(1901~1945)은 1942년 월간지 ‘성서조선’에 쓴 ‘조와’(弔蛙ㆍ죽은 개구리를 조문하다)라는 글 때문에 일본경찰에 체포된다. 이른 봄 연못에 죽은 news.v.daum.net 일제강점기 기독교사상가인 김교신(1901~1945)은 1942년 월간지 ‘성서조선’에 쓴 ‘조와’(弔蛙ㆍ죽은 개구리를 조문하다)라는 글 때문에 일본경찰에 체포된다. 이른 봄 연못에 죽은 개구리들이 둥둥 떠다니는데, 자세히 보니 못 밑에 아직 몇 마리 개구리들이 살아 움직이더라는 이야기다. ‘조와’는 “아! 전멸은 면했나 보다”라는 탄성으로 끝을 맺는다. 이것은 단순한 개구리의 이..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몸으로 익히는 공부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몸으로 익히는 공부 (daum.net)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몸으로 익히는 공부 [서울신문]지방대 사범대학에 재직하면서 많은 학생들을 만났다. 한 남학생에 대한 각별한 기억이 있다. 역사교육과라서 봄·가을엔 답사여행을 떠난다. 어느 해 봄이었다. 답사 2일째였을 것이 news.v.daum.net 지방대 사범대학에 재직하면서 많은 학생들을 만났다. 한 남학생에 대한 각별한 기억이 있다. 역사교육과라서 봄·가을엔 답사여행을 떠난다. 어느 해 봄이었다. 답사 2일째였을 것이다. 오전에 전세버스로 목적지를 향하고 있었다. 나는 운전기사 뒷좌석에 앉아 있었다. 버스가 달리고 있는데 한 학생이 전날 마신 술로 탈이 났나 보다. 오른쪽 맨 앞자리가 비어 있었는데 그 자리에 앉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