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숲] 삶의 지혜 342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9) 웃음과 유머의 사회학 (2022.04.01)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웃음과 유머의 사회학 (daum.net)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웃음과 유머의 사회학 진화는 실수로, 생존하는 내내 창조의 계획을 즐겁게 위반하는 생명체를 탄생시켰다. 지구는 고독하고 무의미하게 우주 속을 질주하고 있지만, 우리는 그 속에서 공룡과 양서류는 몰랐던 것을 news.v.daum.net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웃음과 유머의 사회학 진화는 실수로, 생존하는 내내 창조의 계획을 즐겁게 위반하는 생명체를 탄생시켰다. 지구는 고독하고 무의미하게 우주 속을 질주하고 있지만, 우리는 그 속에서 공룡과 양서류는 몰랐던 것을 건져냈다. 웃음과 키스, 환호, 그리고 긍정이다. - 볼프 슈나이더 '진정한 행복' ◆ 인류의 경이로운 발명품, 웃음 동물도 사람처럼 웃을 수 있을까? 개는 반가..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8) 반려견은 왜 우리에게 위안을 주는가? (2022.04.01)

[이용범의 행복심리학]반려견은 왜 우리에게 위안을 주는가? (daum.net) [이용범의 행복심리학]반려견은 왜 우리에게 위안을 주는가? 몽둥이를 든 주인의 손을 핥는 동물은 개밖에 없다. 그래서 개는 인간보다 나은 취급을 받기도 하고, 어떤 측면에서는 인간보다 낫다. 개가 위기에 처한 주인을 구했다는 이야기는 매우 흔하다. news.v.daum.net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8) 반려견은 왜 우리에게 위안을 주는가? 몽둥이를 든 주인의 손을 핥는 동물은 개밖에 없다. 그래서 개는 인간보다 나은 취급을 받기도 하고, 어떤 측면에서는 인간보다 낫다. 개가 위기에 처한 주인을 구했다는 이야기는 매우 흔하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개가 인간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기 때문에 함께 살게 되었을 것으로 상상한다. 하..

[이용범의 행복 심리학] (7) 새해 결심을 작심삼일로 끝내지 않는 방법 (2022.04.01)

[이용범의 행복 심리학]새해 결심을 작심삼일로 끝내지 않는 방법 (daum.net) [이용범의 행복 심리학]새해 결심을 작심삼일로 끝내지 않는 방법 새해 첫날 수많은 다짐을 했을 것이다. 그러나 안쓰럽게도 당신의 결심은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1988년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3분의 1 정도가 2주 안에 결심을 포기하고, 6개월 후 news.v.daum.net [이용범의 행복 심리학] (7) 새해 결심을 작심삼일로 끝내지 않는 방법 새해 첫날 수많은 다짐을 했을 것이다. 그러나 안쓰럽게도 당신의 결심은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1988년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3분의 1 정도가 2주 안에 결심을 포기하고, 6개월 후에는 절반 정도가 계획을 기억조차 하지 못했다. 1년 후까지 결심을..

[이용범의 행복 심리학] (6) 네가 가진 것에 내 행복을 맡길 건가 (2022.03.31)

[이용범의 행복 심리학]네가 가진 것에 내 행복을 맡길 건가 (daum.net) [이용범의 행복 심리학]네가 가진 것에 내 행복을 맡길 건가 가톨릭 신부의 이웃에 랍비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아침, 랍비는 최신 모델의 자동차를 세차하고 있는 신부를 만났다. 랍비가 신부에게 다가가 물었다. "신부님, 무얼 하고 계십니까?" 신부가 으 news.v.daum.net [이용범의 행복 심리학] 네가 가진 것에 내 행복을 맡길 건가 가톨릭 신부의 이웃에 랍비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아침, 랍비는 최신 모델의 자동차를 세차하고 있는 신부를 만났다. 랍비가 신부에게 다가가 물었다. "신부님, 무얼 하고 계십니까?" 신부가 으스대며 대답했다. "보면 모르겠소? 세례 중입니다." 이튿날 랍비는 집안의 돈을 모두 끌어모..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5) 결혼은 미친 짓일까? (2022.03.31)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5]결혼은 미친 짓일까? (daum.net)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5]결혼은 미친 짓일까? 소크라테스의 결혼 생활은 불행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악처로 알려진 아내 크산티페에 관한 일화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 크세노폰, 3세기 초의 역사가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그리 news.v.daum.net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5) 결혼은 미친 짓일까? 소크라테스의 결혼 생활은 불행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악처로 알려진 아내 크산티페에 관한 일화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 크세노폰, 3세기 초의 역사가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그리고 훗날의 작가들에 의해 대부분 과장된 것이다. 억울하게 오명을 쓰긴 했지만, 크산티페가 남편에게 불만을 가진 것은 틀림없었을 것이다. 소크라테스는 집안..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4) 아름다움은 왜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가? (2022.03.31)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4]아름다움은 왜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가? (daum.net)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4]아름다움은 왜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가? 1917년 뉴욕독립미술가협회 전시회에 기괴한 작품 하나가 출품되었다. 진열대 위에는 낡은 소변기 하나가 놓여 있었다. 이 소변기는 곧 철거되었지만, 2004년 영국 미술인들에 의해 20세기에 가장 news.v.daum.net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4) 아름다움은 왜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가? 1917년 뉴욕독립미술가협회 전시회에 기괴한 작품 하나가 출품되었다. 진열대 위에는 낡은 소변기 하나가 놓여 있었다. 이 소변기는 곧 철거되었지만, 2004년 영국 미술인들에 의해 20세기에 가장 영향력 있는 작품으로 선정되었다. 마르셀 뒤샹의 ‘샘’이다. 이보다 더 ..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3) 정치 성향과 유전자의 비밀 (2022.03.31)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3]정치 성향과 유전자의 비밀 (daum.net)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3]정치 성향과 유전자의 비밀 선거가 끝났지만 아직도 후유증에서 벗어나지 못한 사람들이 있다. 정치는 휘발성이 큰 주제다. 처음엔 가벼운 대화로 시작하지만 누군가 자신의 입장을 주장하기 시작하면 금세 논쟁으로 비화 news.v.daum.net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3) 정치 성향과 유전자의 비밀 ㅣ보수 '불안정' 진보 '불평등'에 민감.. 행복은 여기서 갈린다 선거가 끝났지만 아직도 후유증에서 벗어나지 못한 사람들이 있다. 정치는 휘발성이 큰 주제다. 처음엔 가벼운 대화로 시작하지만 누군가 자신의 입장을 주장하기 시작하면 금세 논쟁으로 비화되고 만다. 말싸움이 시작되면 설득에 성공하는 사람도, 설득 당하는 사..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2) 혼자 먹는 초콜릿, 더 맛있을까? (2022.03.31)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2]혼자 먹는 초콜릿, 더 맛있을까? (daum.net)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2]혼자 먹는 초콜릿, 더 맛있을까? 13세기 시칠리아의 왕이자 신성로마제국의 황제였던 프리드리히 2세는 '최초의 근대인'으로 불린다. 그는 이슬람문명을 수용할 만큼 개방적이었으나 교황과의 잦은 마찰로 세 번이나 파문당했 news.v.daum.net [이용범의 행복심리학] (2) 혼자 먹는 초콜릿, 더 맛있을까? 13세기 시칠리아의 왕이자 신성로마제국의 황제였던 프리드리히 2세는 ‘최초의 근대인’으로 불린다. 그는 이슬람문명을 수용할 만큼 개방적이었으나 교황과의 잦은 마찰로 세 번이나 파문당했다. 그의 지적 호기심을 보여주는 재미있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그는 인간이 자연 상태에 있을 때 어떤 언어를 ..

[이용범의 행복 심리학] (1) 자선냄비에 손 닿는 순간, 마음은 왜 행복해질까 (2022.03.31)

[이용범의 행복 심리학 1] 자선냄비에 손 닿는 순간, 마음은 왜 행복해질까 (daum.net) [이용범의 행복 심리학 1] 자선냄비에 손 닿는 순간, 마음은 왜 행복해질까 새 저금통에 지폐 한 장을 구겨 넣을 때만 해도 분명한 계획이 있었다. 저금통을 깨는 날, 홀로 여행을 떠나겠다는 다짐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새로운 변수가 끼어들었다. 노트북을 바 news.v.daum.net [이용범의 행복 심리학] (1) 자선냄비에 손 닿는 순간, 마음은 왜 행복해질까 ㅣ필요한 물건 구매한 사람보다 여행·기부한 사람이 더 행복.. 중요한 건 富의 크기가 아니라 사용법 새 저금통에 지폐 한 장을 구겨 넣을 때만 해도 분명한 계획이 있었다. 저금통을 깨는 날, 홀로 여행을 떠나겠다는 다짐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김재필 박사의 세상사는 이야기] H에게- 노인들의 인식전환이 필요한 때 (2022.03.29)

[김재필 박사의 세상사는 이야기]H에게-노인들의 인식전환이 필요한 때 - 시사위크 (sisaweek.com) [김재필 박사의 세상사는 이야기]H에게-노인들의 인식전환이 필요한 때 - 시사위크 [시사위크] 늦은 밤 불쑥 울린 짧은 문자/ 보고 싶구나/ 오십 줄로 들어선 오래된 친구/ 가슴이 철렁 한참을 들여다본다/ 가만 가만 글자들을 따라 읽는다/ 글자마다 지독한 그리움이 묻어난다/ www.sisaweek.com [김재필 박사의 세상사는 이야기] H에게- 노인들의 인식전환이 필요한 때 필자 : 김재필(미 델라웨어대학 사회학 박사) [시사위크] 늦은 밤 불쑥 울린 짧은 문자/ 보고 싶구나/ 오십 줄로 들어선 오래된 친구/ 가슴이 철렁 한참을 들여다본다/ 가만 가만 글자들을 따라 읽는다/ 글자마다 지독한 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