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산책] 소설 명시 수필 시조 동화

[고시조] (56) 아해야 되롱 삿갓 찰화 - 조존성(趙存性) (2021.11.21)

푸레택 2021. 11. 21. 11:44

■ 아해야 되롱 삿갓 찰화 - 조존성(趙存性)  

兒孩야 되롱 삿갓 찰화 東澗에 비 지거다
기나긴 낚대에 미늘 없는 낚시 매어
저 고기 놀라지 마라 내 興겨워 하노라 

[뜻풀이]       

*아해(兒孩): 나이가 어린 사람을 이르는 말.
*되롱 삿갓: 도롱이와 삿갓. 모두 농촌에서 쓰는 우장(雨裝)이다.
*찰화: ‘차려라. 마련하여라’의 뜻으로, ‘찰호다’는 ‘차리다’의 옛말이다.
*동간(東澗): 간(澗)은 산 골짜기를 흘러내리는 시내, 곧 동쪽 산 골짜기.
*비 지거다: 비가 졌다. 비가 부슬부슬 내린다.
*미늘: 낚시 갈구리에 아퀴를 지은 거스러미.
*흥겨워 하노라: 흥겨움을 이기지 못하겠다.   

[풀이]

얘야, 도롱이와 삿갓을 준비하여라. 동쪽 산 골짜기 시내에는 비가 내리고 있구나! 기나긴 낚대에 미늘이 없는 낚시를 매달고서 드리우는 것이니, 고기야 네가 놀랄것은 없다. 나는 흥겨움을 이기지 못할 따름이기에 다만 낚시질을 즐길 뿐, 너를 헤치고 싶지는 않구나!

[지은이]

조존성(조존성: 1554~1628): 본관(本貫)은 양주(楊州). 자(字)는 수초(守初), 호(號)는 정곡(鼎谷)·용호(龍湖). 아버지는 용인현령 준수(俊秀)로, 남(擥)에게 입양되었다. 성혼(成渾)·박지화(朴枝華)에게 배웠다. 1590년(선조23)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검열이 되었고,이듬해 대교에 올랐다가 정철(鄭澈)의 당이라 하여 파면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고향에 있다가, 이듬해 의주의 행재소(行在所)에 가서 대교로 복직되었다. 이어 전적·예조좌랑·정언 등을 역임하고, 사신으로 명나라에 가서 병부상서(兵部尙書) 석성(石星)에게 조선에서의 명군 철병론을 철회하게 하여 그 공으로 직강이 되었다. 그 후 호조정랑을 거쳐 1595년 해운판관(海運判官)이 되었으며,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군량 운반에 공을 세웠다. 그 뒤 강화부사·충주목사·단산군수를 역임하며 선정을 베풀었다. 1613년(광해군 5) 생모추존(生母追尊)을 반대하여 파직당했다가, 1623년 인조반정 후에 형조와 호조의 참판,동지돈녕부사, 부총관등을 역임했다. 1624년(인조2) 어영부사(御營副使)가 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왕을 공주로 호종했다. 난이 평정된 뒤에 지중추부사 겸 지의금부사가 되어 기로소에 들어 갔다. 1627년 정묘호란 때 분조(分朝)의 호조판서로 세자를 따라 전주에 갔다가 돌아와 병으로 죽었다. 시조 4수가 《해동가요》에 전한다. 시호는 소민(昭敏)이다.

[참고]

동쪽 시냇물에서 낚시를 즐기지만 그것은 고기를 잡으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고기와 같이 즐기기 위한 것이다. 마치 위수에서 강태공이 미늘 없는 낚시로 때를 기다렸다는 고사와 통하는 바가 있다. 호아곡(呼兒曲) 사조(四調) 중(中)의 「동번관어(東藩觀魚)」로서, 한역시(漢譯詩)는 다음과 같다.

호아장출록사의(呼兒將出綠蓑衣)
동간춘미쇄석기(東澗春靡灑石磯)
적적죽간어자재(籊籊竹竿魚自在)
위타계로이망기(爲他溪老已忘機)

[출처] 원문보기

https://blog.daum.net/thddudgh7

 

일소일빈

한자는 우리글이다

blog.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