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생태 과학 칼럼 모음

[장기성의 당현천 꽃밭] 벌개미취와 쑥부쟁이

푸레택 2022. 6. 24. 20:57

13. 벌개미취 - 14 쑥부쟁이[노원신문]13. 벌개미취 - 14 쑥부쟁이[노원신문] - 노원신문 (newsk.com)

 

[노원신문] 13. 벌개미취 - 14 쑥부쟁이[노원신문]

13. 벌개미취 - 14 쑥부쟁이[노원신문] - 노원신문

nowon.newsk.com

벌개미취

벌개미취

‘코리안 데이지’인 벌개미취는 우리나라가 원산지로 국화과에 속한다. 쑥부쟁이, 구절초, 감국, 산국과 함께 들국화로 불린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보라색 꽃이 끊임없이 피고 진다. 잎은 길쭉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키가 50~60cm 정도이다. 당현천 가에 피는 건 벌개미취다.


이에 반해 개미취는 1.5~2m로 올려다 불 정도로 키가 크다. 개미취 잎은 쑥부쟁이에 비해 훨씬 작다. 또한 잎에 비해 꽃대가 무척 길게 자라는 특성이 있다. 비교적 습지를 좋아하지만 재배요건이 까다롭지 않고, 병충해가 별로 없고 번식력도 강해 햇볕이 잘 드는 화단이나 도로변에 조경용으로 많이 심는다.

벌개미취는 봄이나 초여름에 연한 잎을 삶아 나물로 만들어 먹는다. 한방에서는 뿌리와 뿌리줄기를 가을에 채취하여 말린 뒤에 항균용이나 해수, 천식, 소변불통 등을 치료하는 데 쓴다.

쑥부쟁이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야산 계곡 습지나, 논 밭두렁에 자생한다.
봄에 싹이 날 때는 보라색을 띤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어가며 자라기 때문에 포기가 크게 퍼지며 잎사귀는 긴 타원형을 이루고, 줄기가 곧바로 자란다. 꽃은 자주색과 흰색으로 핀다. 개미취와 달리 큰 뿌리잎이 없고 꽃이 필 때쯤이면 잎이 거의 말라버린다.

쑥부쟁이에는 슬픈 전설이 있다. 쑥을 캐던 대장장이 딸이 함정에 빠진 한양 도령을 구해주고는 그를 기다리다가 절벽에서 떨어져 죽은 자리에서 이 꽃이 피었다고 해서, ‘쑥+불쟁이’에서 ‘쑥부쟁이’로 불린다. 이른 봄에 새순을 채취해 데쳐서 나물로 먹고, 기름에 볶아 먹기도 하고 쌀과 섞어 밥을 지어 먹기도 한다.

당현천에 있는 것은 잎이 작고 좁은 미국쑥부쟁이로, 1970년대 말 춘천 중도지역에서 처음 발견돼 중도국화, 잎 가장자리에 털이 나있어 털쑥부쟁이라고도 부른다. 귀화식물로 번식력은 뛰어나지만 독성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산에서 자라는 까실쑥부쟁이는 개미취와 비슷한데 꽃이 아주 작고 잎이 뻣뻣하고 까실거린다. (노원신문)

/ 2022.06.24 옮겨 적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