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매, 잎, 줄기, 뿌리까지 모두 약용으로 쓰이는 나무 ‘남천‘’
늦게 여물어 겨울 햇살에 보석처럼 빛나는 열매.. 겨울에 더 멋지게 빛이 나는 나무 ‘남천’
/ 서울식물원 초지원에서 촬영 2021.10.10
■ 남천 (南天, Nandina)
분류 매자나무과
학명 Nandina domestica
남천은 중국 남부와 인도가 원산지로서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정원수로 많이 심는 관목이다. 줄기가 모여나기 하며, 성질이 강하고 곧게 자라 꼭지 부근에 주로 잎이 달린다. 그래서 중국 이름은 ‘남천대나무(南天竹)’이며, 영어 이름도 ‘신성한 대나무’란 뜻이다. 원산지에서 오래된 나무는 키가 4~5미터에 이르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 주변에서 만나는 남천은 허리춤 남짓한 난장이로 육종한 것들이 많다.
잎자루가 세 번이나 갈라지는 3회 깃꼴겹잎이 독특하며, 잎은 긴 마름모꼴로 끝이 뾰족하다. 암수 한 나무로 초여름 날, 가지 끝에 한 뼘이 훨씬 넘는 원뿔모양의 긴 꽃대를 위로 내민다. 초록 잎을 바탕으로 하얀 꽃이 줄줄이 피고, 굵은 콩알만 한 열매는 늦가을에 붉게 익어 다음해 봄까지 달려 있다.
이런 독특한 생김새만으로도 사람들의 눈길을 끌기에 충분하지만, 남천의 하이라이트는 아무래도 겨울의 붉은 잎이다. 남천은 늘 푸른 넓은잎나무이니 단풍이란 말은 좀 어울리지 않지만, 잎 모양은 영락없는 붉은 단풍이다. 집단으로 심어 놓은 남천의 붉은 잎은 겨울 풍광의 삭막함을 씻어주는 악센트다. 겨울을 버티기 위하여 잎 속의 당류(糖類) 함량이 높아지면서 붉은색을 띠는 것으로 짐작된다.
우리나라의 남천은 주로 일본에서 개량한 원예품종을 심고 있다. 일본은 아주 오래전에 중국에서 가져다 심은 탓에 현재는 산에 자생하기도 한다. ‘난텐’이란 일본 이름 자체가 ‘어려움을 극복하고 부정을 깨끗이 한다’라는 뜻과 통하므로 귀신이 출입하는 방향이나 화장실 옆에 심기도 한다. 또 남천 젓가락은 체하는 것을 막고 장수한다는 속설이 있다.
오늘날에는 주로 남천을 정원수로 널리 심지만 원래 쓰임은 약용식물이다. 열매, 잎, 줄기, 뿌리까지 모두 이용된다. 열매에는 여러 종류의 알칼로이드 성분이 들어 있으며, 지각 및 운동신경을 마비시키는 작용을 하여 기침을 멈추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잎은 위장을 튼튼히 하고 해열을 시켜주며, 역시 기침을 멈추게 하는 약리작용이 있다. 잎에는 미량의 청산(靑酸, 시안화수소)이 들어 있다. 흔히 음식 위에 남천 잎을 얹어두는 것을 보게 되는데, 이는 청산 때문에 음식의 변질을 막는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남천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시기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신사임당(1504~1551)의 〈화조도〉에 남천으로 짐작되는 그림이 등장하므로 적어도 16세기 이전에 중국에서 가져와 심고 가꾼 것으로 짐작된다.
글=박상진 경북대 교수
[출처] 《우리 나무의 세계 2》 (김영사)
/ 2021.10.11 옮겨 적음
'[들꽃산책] 풀과 나무에게 말을 걸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풀꽃노트] '하늘바라기', '개미취', '옥잠화', '해바라기', '꽃뻐꾹나리', '대상화-추명국' (2021.10.11) (0) | 2021.10.11 |
---|---|
[풀꽃노트] 가을 들국화 '구절초' (2021.10.11) (0) | 2021.10.11 |
[나무노트] 붉은 열매에 작디 작은 하얀 반점 '산사나무' (2021.10.11) (0) | 2021.10.11 |
[나무노트] 배고픈 산새들의 먹이가 되는 열매 매단 '덜꿩나무' (2021.10.10) (0) | 2021.10.10 |
[나무노트] 작은 구슬 모양의 붉은색 열매 매단 '미국낙상홍' (2021.10.10) (0) | 2021.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