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냇가에 해오라바 - 신흠(申欽)
냇가에 해오라바 무슨 일 서 있는다
無心한 저 고기를 여어 무엇 하려는다
아마도 한물에 있거니 잊었은들 어떠리
[뜻풀이]
*해오라바: ‘해오라비야’의 준말. ‘해오라비’는 ‘해오라기’의 옛말.
*서 있는다: ‘서 있느냐?’의 옛 말투.
*여어: 엿보아, 넘겨 보아.
*하려는다: ‘하려느냐?’의 옛 말투.
*한물: 같은 물.
*잊었은들: 잊고 버려둔 들.
[풀이]
냇가에 해오라기는 무슨 일로 서 있느냐? 무심히 노니는 저 고기를 엿보아서는 무엇 하려느냐?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다같이 한물에서 살고 있는 형편이니, 아예 잊어버리고 내버려 둔들 어떻겠느냐?
[지은이]
신흠(申欽: 1566~1628): 인조(仁朝) 대(代)의 한학자(漢學者)로서, 자(字)는 경숙(敬叔), 호(號)는 상촌(象村), 본관(本貫)은 평산(平山)이다. 선조18년에 진사(進士), 이듬해 문과에 급제하고 병조좌랑(兵曹佐郞)등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광해군때에 영창대군사건으로 말미암아 벼슬길에서 밀려나 낙향생활을 하다가, 인조반정이 이루어지매 다시금 등용이 되어, 이조판서(吏曹判書)·대제학(大提學)을 거쳐 영의정(領議政)에 올랐다.그는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여 천문·역법·수리·의복(醫卜)에도 통달하였다.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계곡(谿谷) 장유(張維)·택당(澤堂) 이식(李植)등과 더불어 당시의 한학4대가(漢學四大家)로 꼽히었다. 한편 시조에도 능한 바 있어, 30수의 작품이, 광복 후 비로소 간행된 진본(珍本) 《청구영언(靑丘永言)》에 전하는데, 이는 모두 광해군 때에 뜻을 펴지 못하고, 춘천(春川) 소양강(昭陽江) 가에서 물러나 있을 무렵에 읊은 것이다.
[참고1]
이 시조는 얼핏 보아 자연 속에서 한가하게 지내면서, 모든 것이 제 성품대로 살아가는 모습을 그린 것 같으나,당시의 추잡한 당쟁을 풍자한 것이며, 나아가서 같은 겨레로서 화목하게 살기를 바라는 소망이 깃들여진 노래이다. ‘백로’는 싸움을 거는 자요,‘고기’는 싸울 뜻이 없는 자이다. ‘한물’은 한 조정,한 나라를 뜻한다. 한 물에 있는 백로요, 고기이니 서로 처지가 다르다고 해서 싸워서는 안 된다는 비유속에 당시의 악폐인 당쟁을 꾸짖고, 반목질시의 옳지 못함을 나무래는 뜻이 서릿발같이 서려 있다.
[참고2]
새로 알려진 시조(詩調)의 하나이며, 한역문(漢譯文)은 다음과 같다.
계변로입하사(溪邊鷺立何事)
어자무심저사규(魚自無心底事窺)
기시일양수중물(旣是一樣水中物)
상망야의(相忘也宜)
[출처] 원문보기
https://blog.daum.net/thddudgh7
'[문학산책] 소설 명시 수필 시조 동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시조] (63) 어젯밤 비 온 후에 - 신흠(申欽) (2021.11.23) (0) | 2021.11.23 |
---|---|
[고시조] (62) 술 먹고 노는 일은 - 신흠(申欽) (2021.11.23) (0) | 2021.11.23 |
[명작수필] '환상(幻想)의 새' 박경리(朴景利) (2021.11.22) (0) | 2021.11.22 |
[명작수필] '색난(色難), 가을 단풍에게 배운다' 김시천 (2021.11.22) (0) | 2021.11.22 |
[명작수필] '피딴 문답' 김소운(金素雲) (2021.11.22) (0) | 2021.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