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산책] 소설 명시 수필 시조 동화

[명작수필] '인연' 피천득(皮千得) (2021.11.09)

푸레택 2021. 11. 9. 13:05

■ 인연 / 피천득

   지난 사월, 춘천(春川)에 가려고 하다가 못 가고 말았다. 나는 성심(聖心)여자대학에 가 보고 싶었다.

   그 학교에, 어느 가을 학기, 매주 한 번씩 출강(出講)한 일이 있었다. 힘드는 출강을 한 학기 하게 된 것은, 주 수녀님과 김 수녀님이 내 집에 오신 것에 대한 예의(禮儀)도 있었지만, 나에게는 사연(事緣)이 있었다.

   수십 년 전, 내가 열 일곱 되던 봄, 나는 처음 도표(동경, 東京)에 간 일이 있다.

   어떤 분의 소개(紹介)로 사회교육가(社會敎育家) M선생 댁에 유숙(留宿)을 하게 되었다. 시바쿠(지구, 芝區)에 있는 그 집에는 주인 내외와 어린 딸, 세 식구가 살고 있었다. 하녀도 서생(書生)도 없었다.

눈이 예쁘고 웃는 얼굴을 하는 아사코(조자, 朝子)는 처음부터 나를 오빠같이 따랐다. 아침에 낳았다고 아사코라는 이름을 지어 주었다고 하였다.

   그 집 뜰에는 큰 나무들이 있었고, 일년초(一年草) 꽃도 많았다. 내가 간 이튿날 아침, 아사코는 스위이트 피이를 따다가 화병에 담아, 내가 쓰게 된 책상 위에 놓아 주었다. 스위이트 피이는 아사코같이 어리고 귀여운 꽃이라고 생각하였다.

   성심여학원 소학교 일학년인 아사코는 어느 토요일 오후, 나와 같이 저희 학교에까지 산보(散步)를 갔었다.

   유치원(幼稚園)부터 학부(學部)까지 있는 카톨릭 교육 기관으로 유명한 이 여학원은, 시내에 있으면서 큰 목장(牧場)까지 가지고 있었다. 아사코는 자기 신장을 열고, 교실에서 신는 하얀 운동화를 보여 주었다.

   내가 도쿄를 떠나던 날 아침, 아사코는 내 목을 안고 내 빰에 입을 맞추고, 제가 쓰던 작은 손수건과 제가 끼던 작은 반지를 이별(離別)의 선물(膳物)로 주었다.

   그 후, 십 년이 지나고 삼사 년이 더 지났다.

   그 동안 나는, 국민 학교 일학년 같은 예쁜 여자 아이를 보면 아사코 생각을 하였다.

   내가 두 번째 도쿄에 갔던 것도 사월이었다. 도쿄역 가까운 데 여관(旅館)을 정하고 즉시 M선생 댁을 찾아갔다.

   아사코는 어느덧 청순(淸純)하고 세련(洗練)되어 보이는 영양(令孃)이 되어 있었다. 그 집 마당에 피어있는 목련(木蓮)꽃과도 같이. 그 때, 그는 성심여학원 영문과 3학년이었다. 나는 좀 서먹서먹했으나, 아사코는 나와의 재회(再會)를 기뻐하는 것 같았다.  아버지, 어머니가 가끔 내 말을 해서 나의 존재(存在)를 기억(記憶)하고 있었나 보다.

   그날도 토요일이었다. 저녁 먹기 전에 같이 산보를 나갔다. 그리고 계획(計劃)하지 않은 발걸음은 성심여학원 쪽으로 옮겨져 갔다.

   캠퍼스를 두루 거닐다가 돌아올 무렵, 나는 아사코 신장은 어디 있느냐고 물어 보았다. 그는 무슨 말인가 하고 나를 쳐다보다가, 교실에는 구두를 벗지 않고 그냥 들어간다고 하였다. 그러고는 갑자기 뛰어가서 그 날 잊어버리고 교실에 두고 온 우산을 가지고 왔다.

   지금도 나는 여자 우산을 볼 때면, 연두색이 고왔던 그 우산을 연상(聯想)한다. 셸부르의 우산이라는 영화를 내가 그렇게 좋아한 것도 아사코의 우산 때문인가 한다. 아사코와 나는 밤 늦게까지 문학 이야기를 하다가 가벼운 악수(握手)를 하고 헤어졌다. 새로 출판(出版)된 버지니아 울프의 소설 세월(歲月)에 대해서도 이야기한 것 같다.

   그 후 또 십여 년이 지났다.

   그 동안 제 2차 세계 대전이 있었고, 우리 나라가 해방(解放)이 되고, 또 한국 전쟁이 있었다.

   나는 어쩌다 아사코 생각을 하곤 했다. 결혼(結婚)은 하였을 것이요, 전쟁통에 어찌 되지나 았았나, 남편이 전사(戰死)하지나 않았나 하고 별별 생각을 다 하였다.

   1954년, 처음 미국 가던 길에 나는 도쿄에 들러 M선생 댁을 찾아갔다.

   뜻밖에 그 동네가 고스란히 그대로 남아 있었다. 그리고 M선생네는 아직도 그 집에 살고 있었다.

선생 내외분은 흥분(興奮)된 얼굴로 나를 맞이하였다. 그리고 한국(韓國)이 독립(獨立)이 되어서 무엇보다도 잘 됐다고 치하(致賀)하였다.

   아사코는 전쟁이 끝난 후, 맥아더 사령부(司令部)에서 번역(飜譯) 일을 하고 있다가, 거기서 만난 일본인 2세와 결혼을 하고 따로 나서 산다는 것이었다. 아사코가 전쟁 미망인(未亡人)이 되지 않은 것은 다행이었다. 그러나, 2세와 결혼하였다는 것이 마음에 걸렸다. 만나고 싶다고 그랬더니, 어머니가 아사코의 집으로 안내(案內)해 주었다.

   뽀족 지붕에 뽀족 창문들이 있는 작은 집이었다. 이십여 년 전 내가 아사코에게 준 동화책 겉장에 있는 집도 이런 집이었다.

   아! 이쁜 집! 우리, 이담에 이런 집에서 같이 살아요.

   아사코의 어린 목소리가 지금도 들린다.

   십 년쯤 미리 전쟁이 나고 그만큼 일찍 한국이 독립되었더라면, 아사코의 말대로 우리는 같은 집에서 살 수 있게 되었을지도 모른다.

   뾰족 창문들이 있는 집이 아니라도. 이런 부질없는 생각이 스치고 지나갔다.

   그 집에 들어서자 마주친 것은 백합(百合)같이 시들어가는 아사코의 얼굴이었다. 세월이란 소설 이야기를 한 지 십 년이 더 지났었다.

   그러나 그는 아직 싱싱하여야 할 젊은 나이다. 남편은 내가 상상한 것과 같이 일본 사람도 아니고 미국 사람도 아닌, 그리고 진주군(進駐軍) 장교(將校)라는 것을 뽐내는 사나이였다. 아사코와 나는 절을 몇 번씩 하고 악수도 없이 헤어졌다.

   그리워하는데도 한 번 만나고는 못 만나게 되기도 하고, 일생을 못 잊으면서도 아니 만나고 살기도 한다.  아사코와 나는 세 번 만났다. 세 번째는 아니 만났어야 좋았을 것이다.

   오는 주말에는 춘천에 갔다 오려 한다. 소양강 가을경치가 아름다울 것이다. (1996년 作)

◇ 피천득(皮千得,
1910~ 2007)

호 금아(琴兒). 1910년
서울 출생. 상해 호강대학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광복 전에는 경성중앙산업학원 교원으로서 시작(詩作)과 영시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광복 이후에는 경성대학 예과 교수, 서울대 사범대 교수를 역임하였다. 1930년 『신동아』에 시 「서정소곡」을 발표하고 뒤이어 「소곡」(1931), 「가신 님」(1932) 등을 발표하여 시인으로서 기반을 굳혔다. 또한 수필 「눈보라치는 밤의 추억」(1933), 「나의 파일」(1934) 등을 발표하여 호평을 받았다. 시집 『서정시집』(1947), 『금아시문선』(1959), 『산호와 진주』(1969)를 간행하였다. 그의 시는 일체의 관념과 사상을 배격하고 아름다운 정조와 생활을 노래한 순수서정성으로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서정성은 수필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그의 수필은 일상에서의 생활감정을 친근하고 섬세한 문체로 곱고 아름답게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한 편의 산문적인 서정시를 읽는 듯한 느낌을 준다. 이로 인해 그의 수필은 서정적‧명상적 수필의 대표작으로 평가된다. 수필집으로 『수필』(1977), 『삶의 노래』(1994), 『인연』(1996), 『내가 사랑하는 시』(샘터사, 1997) 등이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피천득
[皮千得]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4, 권영민)

/ 2021.11.09 옮겨 적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