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는 인위적 온실가스의 배출량 증가가 지구 온난화의 주원인이라고 선언했다. 탄소 저감이 우리나라 정부와 기업의 긴급한 과제가 되면서 탄소를 흡수하고 저장하는 나무의 기능이 새삼 주목 받고 있다. 기후 위기 시대, 나무를 활용해 탄소 저감에 나선 곳을 찾았다. 나무가 숲이 되었을 때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가치와 효용을 6회에 걸쳐 살펴본다.
국제사회는 2015년 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지구의 평균적인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도 이내, 더 나아가 1.5도 이하로 제한하도록 노력하는 파리협정에 합의했다. 국제사회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공동 노력을 기울이자고 합의한 기후변화 협약은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처음 체결됐지만, 구체적인 시기와 감축량을 명시하지 않아 한계가 있었다.
파리협정은 지구 평균기온 목표치를 처음으로 명문화했고, 선진국(40개국) 위주로 부과하던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195개 모든 당사국으로 넓혔다. 당사국들이 정한 목표의 이행 정도를 점검하기로 한 것과 종료 시점 없이 지속적인 기후 변화 대응 체제를 구축한 것도 진전된 성과였다.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2018년 대비 40% 감축하기로 하고, 2020년 ‘2050 탄소중립 최종 시나리오’를 발표했다.
탄소 중립이 인류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가장 뜨거운 과제로 떠오르면서 탄소 중립을 실현할 최적의 자연친화적 해법으로 숲과 나무가 주목받고 있다. 숲과 나무는 토지, 해양과 더불어 유엔기후변화협약에서 인정하는 핵심 탄소 흡수원이다.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제4차 평가보고서(2007)는 산림의 탄소 순환 능력을 높게 평가했다. 산림이 기후변화 대응에서 유연성과 비용 효과성이 가장 높은 접근이라는 것이다. 이는 나무가 온실가스 감축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자연 수단이기 때문에 부작용이 없고, 사람과 동식물이 살아가는 데 폭넓고 필수적인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2020년 다보스 포럼에서는 2050년까지 1조 그루 나무 심기가 제안돼 세계 각국의 주요 의제로 확산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2020년 발표한 ‘지속가능한 녹색사회 실현을 위한 대한민국 2050 탄소중립 전략’에서 산림 등 탄소 흡수원의 지속적 확대를 3대 기본 원칙의 하나로 설정했다.
그렇다면 나무는 어떻게 탄소 중립에 기여할까. 나무는 생장 과정에서 광합성 작용을 하면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대기로 돌려보낸다. 이 과정에서 흡수된 이산화탄소는 나무와 땅에 탄소의 형태로 저장된다. 저장된 탄소는 벌채, 고사, 부후(腐朽), 연소를 거쳐 다시 대기로 돌아가고, 다음 세대의 산림이 다시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산림은 탄소 흡수와 배출을 반복하면서 장기간 탄소를 저장하고,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면서 지구 생태계의 중요한 탄소 저장고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나무는 목제품으로 만들어지는 동안에도 탄소를 고스란히 저장하고 있다. 수확된 목재에 저장된 탄소의 양은 건조된 목재 무게의 절반 정도다.
목재 1㎥(약 300재)에 고정될 수 있는 탄소량은 250㎏이나 되며, 이를 이산화탄소로 환산하면 917㎏이다. 다시 말해 1㎥의 목재를 이용해 만든 제품을 사용하면 917㎏의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것이 되는 셈이다.
나무는 탄소 저감 외에도 다양한 편익을 제공한다. 식량, 목재, 섬유 등을 공급하고, 대기, 기후, 수질, 자연재해 등을 조절한다. 사람들은 숲에서 여가와 휴양, 교육 활동을 하고, 아름다운 경관으로부터 영감을 받기도 한다. 숲은 다양한 동식물이 살아가는 서식처를 제공해 생태계의 종 다양성을 증가시킨다.
건강과 행복의 가치가 중요시되면서 도시민의 산림에 관한 관심은 더 커지고 있다. 도시에 녹지 공간을 확대하고, 가로수를 늘리고, 건널목 앞에 그늘막이 아닌 그늘목을 심는 지자체의 여러 정책들이 이를 반영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우리나라 산림의 공익적 가치를 평가한 결과 숲은 우리에게 연간 221조원의 가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흡수·저장 기능(34.2%)의 경제적 가치가 가장 컸고, 산림경관 제공 기능(12.8%), 토사유출방지 기능(10.6%), 산림휴양 기능(8.3%) 등이 뒤를 이었다. 우직한 나무 한 그루 한 그루의 기능에 세계가 주목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문정임 기자ㅣ국민일보 2022.07.26
/ 2022.08.09 옮겨 적음
'[자연과학] 생태 과학 칼럼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 위기, 나무가 희망이다④] 도시의 도전.. 숲, 거래 가치로 환산되다 (0) | 2022.08.11 |
---|---|
[기후 위기, 나무가 희망이다③] 가로수는 도시의 폭염 대피소 (0) | 2022.08.10 |
[기후 위기, 나무가 희망이다①] 내 삶을 파고든 기후 변화 (0) | 2022.08.08 |
[핵잼 사이언스] 인간이 멸종시킨 바보 ‘도도새’ 게놈 분석 완료.. 다시 부활? (0) | 2022.08.04 |
[핵잼 사이언스] 속이 다 보이네.. 신종 ‘시스루 개구리’ 에콰도르서 발견 (0) | 2022.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