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 나를 찾아 떠나는 길

[더,오래] 이송이의 뻔하지 않은 여행글쓰기(6) 첫사랑 그 때처럼 가식없이, 맹랑하게 글써라

푸레택 2022. 4. 27. 13:37

[더,오래] 첫사랑 그 때처럼 가식없이, 맹랑하게 글써라 (daum.net)

 

[더,오래] 첫사랑 그 때처럼 가식없이, 맹랑하게 글써라

흔히 나의 글의 최초의 독자는 나라고 하지만 어쩌면 ‘나도 모르는 나’가 가장 첫 독자일지 모른다. 내가 알던 나에게서 벗어나 보는 것, 그것이 우리가 여행을 떠나는 이유이고 여행 글을 쓰

news.v.daum.net

서울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에서 열린 여성 백일장. 참가한 여성들이 글쓰기에 열중하고 있다. [중앙포토]

[더,오래] 이송이의 뻔하지 않은 여행글쓰기(6) 첫사랑 그 때처럼 가식없이, 맹랑하게 글써라

여행글은 형식·개념 필요없이 솔직하게 쓰면 돼
아무에게도 보이고 싶지 않은 글이 모두 원하는 글

흔히 나의 글의 최초의 독자는 나라고 하지만 어쩌면 ‘나도 모르는 나’가 가장 첫 독자일지 모른다. 내가 알던 나에게서 벗어나 보는 것, 그것이 우리가 여행을 떠나는 이유이고 여행 글을 쓰고 싶은 이유는 아닐까.

말처럼 쉬운 것은 아니지만, 전편에서 추상적이거나 관념적인 표현을 벗어던지고 구체적이고 개성이 묻어나는 글을 써보라고 했다. 그리고 구체적인 표현에서 더 나아가 자기만의 글맛을 십분 살리려면 우선 글을 쓰는 중간중간 스스로를 자로 재고 억압하는 자기검열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미 작가라도 그렇지만 작가 지망생에게는 더욱 그렇다. 자신이 어디까지 쓸 수 있을지, 스스로의 감정이 어디까지 내려갈 수 있을지 알기도 전에 마음에 선을 그어놓고 시작할 필요는 없다.

이렇게 시작해야지, 저렇게 끝마쳐야지, 이렇게 구성해야지 등을 미리 정해놓을 필요도 없다. 글을 쓰면서 앞으로 나아가기 전에 먼저 쓴 문장을 계속 점검하는 버릇도 좋지 않다. 처음 글쓰기를 시작하는 사람일수록 잘 쓰고 싶다는 욕심과 자신감 부족 때문에 자꾸 앞에 쓴 글을 되새김질한다. 초심자에게 흔히 벌어지는 일이지만 처음 쓰는 글일수록 무모하리만치 자신감 있게 앞으로 밀고 나가야 한다. 미지의 세계를 여행할 때처럼 두렵지만 그렇게 앞으로, 앞으로.

━ 지나간 것은 지나간 대로

아직 나의 글을 나 외에는 아무도 보지 않았다. 누가 갑작스레 내가 쓴 글을 들고 나가 세상에 대고 낭송하지 않는다. 우리에게는 언제나 퇴고의 기회가 있다. 나만 원한다면 다시 고치고 수정하고 재구성할 기회는 얼마든지 있다. 물론 찢어버릴 수도 있다.

누군가 내 글을 읽을 것이라고 생각하면 부담이 돼 아무것도 쓸 수 없다. 독자를 유념하고 글을 쓴다는 것은 신문·잡지의 기자가 뚜렷한 목적이 있는 글을 쓸 때나 경험 많은 프로작가에게나 해당하는 말이다. 그들은 이미 어느 정도 수차례의 진통을 겪으며 자신의 내밀한 속내와 겉싸개를 오가며 많은 글쓰기 경험을 했다. 그들에게는 때에 따라 일정 부분 취사선택이 가능하다.

첫 글은 첫 마음, 첫사랑과 같다. [사진 영화 <나의 소녀 시대> 스틸]

하지만 초심자에게는 전혀 다른 얘기다. 첫 글은 첫 마음, 첫사랑과 같다. 자신의 순수한 마음과 느낌과 생각을 있는 그대로 보여줄 필요가 있다. 익명의 독자가 읽기 전에 자신에게 먼저 주어보는 글이다. 첫사랑을 하던 그때처럼, 아이처럼, 가식 없이, 때로 맹랑하게, 아무것도 모르는 채로 그렇게 글을 써 내려 가는 것이다. 나중에는 어차피 사랑에도 글에도 닳고 닳을 것이다. 그때가 되면 첫사랑이, 첫 글이 한없이 어설펐으나 얼마나 멋진 것이었는지 새삼스러울 테다.

술을 먹고 약간 취한 상태에서 글이 ‘술 넘어가듯’ 술술 써진다는 말도 그래서 일리가 있다. 필자 역시 잠이 덜 깬 새벽의 비몽사몽 중이나 서너 잔의 맥주를 마시고 취기가 올랐을 때 평소보다 글이 훨씬 빠르고 깊게 써진다. 여행 글이라면 더욱 그렇다.

이성은 내려가고 감성이 올라온다. 논리는 사라지고 직관이 떠오른다. 무엇이 옳은지 그른지의 판단력이 흐려지고 시시비비가 사라진 진공상태가 되기도 한다. 그럴 땐 내가 글을 쓰고 있는 것인지 스스로에게 쓸 데도 없는 소리를 읊조리고 있는 것인지 헛갈릴 정도다.

지나간 글을 돌아보지도 않고 맞춤법이나 띄어쓰기도 신경 쓰지 않고 생각나는 그대로 적어 내려간다. 나중에 단단히 퇴고할 생각이거나 아무에게도 보여주지 않고 버려 버린다는 기분으로 그저 ‘한글’을 쓴다는 기본만 가지고 간다. 더는 말하고 싶은 것이 없어질 때까지 계속 써내려간다. 그리고 덮어둔다. 다음 날 읽어도 좋고 며칠이 지난 후에 읽어도 좋다.

맞춤법이나 띄어쓰기도 신경쓰지 않고 생각나는대로 적어내려 가 보자. [중앙포토]

하지만 이럴 때 역시 뭔가 결과물을 기대해서는 안 된다. 사실 이런 방식은 꼭 무언가를 쓰겠다는 것보다는 나의 감정이나 상태를 내가 얼마나 언어로 풀어 내놓을 수 있을지 가늠해보는 테스트의 일환이다. 어쩌면 ‘이게 정말 내가 쓴 글인가’ 의심할 만큼 나답지 않다고 느낄 수도 있다. 그래서 글은 꼭 남에게 보여주기 위해서만 쓰지 않는다. 나 스스로 나에게 보여줘 보는 나의 모습, 일종의 명상 같은 역할이다.

━ 필명을 쓰는 이유


그래서 일부 작가들은 필명을 쓰기도 한다. 사회적인 내 이름으로는 쓰기 힘든 글을 필명이나 익명, 무명에 기대어 솔직하게 털어낸다. 이름을 버리면 좀 더 솔직해진다. 내가 누구라는 관념을 버리면 자신도 모르던 깊은 곳으로 들어갈 수 있다. 적어도 ‘글 세계’에서는 솔직함이 모든 것을 이긴다고 믿는다.

히말라야에 오르며 자신의 고통과 고독을 『검은 고독, 흰 고독』에 풀어낸 산악가 ‘라인홀트 매스너’는 세상에서 위대한 산악가로 추앙받는 자신이 실은 아주 연약한 사람에 지나지 않음을 고백한다. 결코 무용담이나 용감함을 뽐내지 않는다. 홀로 고산을 오르고 내리며 얼마나 절절한 좌절감과 두려움 속에 파묻혀 있었는지를 이야기한다.

그가 산에서 글을 쓰지 않았다면 우리는 그를 철인이라고 했을지 모른다. 그가 그토록 공포와 두려움에 떠는 우리와 같은 나약한 인간인지 절대로 가늠하지 못했을 테다. 그의 솔직한 고백에서 우리는 그의 내밀한 곳과 만나며 그의 고독을 공감하고 감동하며 어느새 스스로를 위로할 수 있다.

다시 한번 물어보라. 내가 무엇을 위해 글을 쓰고 싶은지. 명예와 명성, 자기표현을 위해서라면 굳이 필명을 쓰며 뒤에 숨고 싶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내밀한 속마음을 털어놓으며 나 자신을 위로하고 누군가의 공감을 바란다면 굳이 자신의 이름에 연연하지 않을 것이다. 그 역시 솔직해야 한다. 어차피 자신에게 하는 질문이니 스스로를 속일 필요는 없다.


━ 솔직함의 최대 무기

여행 글이야말로 모든 것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어떠한 것의 구속도 없이 마음과 몸의 안과 밖을 뛰놀며 마음껏 써볼 수 있는 글이다. 형식이나 개념은 필요 없다. 언어이기만 하면 된다. 다만 솔직하기만 하면 된다. 허세와 욕심, 과거와 미래를 모두 버리고 현재에 있는 그대로의 나를 찾아가는 길이다. 아무에게도 보여주고 싶지 않은 쑥스러운 글, 아무도 보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쓴 글, 어쩌면 역설적으로 그런 글이 바로 모두가 보고 싶어 하는 글일 테다.

이송이 여행작가·일요신문 여행레저 기자ㅣ중앙일보

/ 2022.04.27 옮겨 적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