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진오의 꽃따라산따라] (29) 경북 경산·영천 금호강 배후습지 (daum.net)
[현진오의 꽃따라 산따라] (29) 경북 경산·영천 금호강 배후습지
큰 강 주변에는 자연적으로 습지가 발달한다. 깎아지른 협곡으로 이루어진 강에는 습지가 발달할 여유가 없지만, 범람원이나 삼각주가 형성되는 완만한 지역의 강에는 습지가 곧잘 발달한다.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하천제방 뒤쪽에 생긴 습지를 배후(背後)습지라고 한다. 배후습지에는 크고 작은 연못, 늪지, 저수지가 많이 형성된다. 대구의 동쪽, 경산과 영천 일대에는 수생식물 생육지로서 주목할 만한 특별한 배후습지가 발달해 있다. 낙동정맥에서 발원하여 영천으로 흘러들며 큰 물줄기를 이루는 금호강은 영천에서 경산을 흐르는 동안에 물길 남쪽에다 넓은 평야와 배후습지를 빚어놓고 있다. 경산을 지난 금호강은 대구시내 북쪽을 굽이돈 후 대구 서쪽에서 낙동강에 합류되므로, 크게 보아서는 금호강 일대의 이 습지도 낙동강 배후습지라 할 수 있다.
● 연못·저수지 많아 희귀 수생식물 집단 서식
경산과 영천의 습지에는 연못과 저수지가 참으로 많다. 이름 있는 큰 것들만 보아도 골못, 괴연제, 남매지, 대승제, 대정지, 문천지, 본촌제, 부지, 비느리못, 삼정지, 신제지, 연지, 이지, 한제지 등 이루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다. 최근에 만들어진 것도 몇 개 있지만,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본촌제가 있는 것처럼 많은 연못과 저수지들이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역사가 깊은 연못에는 귀한 물풀이 많이 산다. 이곳 연못과 저수지, 습지들에는 가래, 가시연꽃, 네가래, 노랑어리연꽃, 마름, 물질경이, 물달개비, 붕어마름, 사마귀풀, 생이가래, 어리연꽃, 연꽃, 자라풀, 창포, 털여뀌 등 많은 수생식물이 자라고 있고, 이들 가운데 많은 것이 이맘때 가을볕 아래서 꽃을 피운다.
경산과 영천 일대는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 수생식물을 관찰하기에 좋은 곳 가운데 하나로서 명성을 쌓아가고 있다. 그만큼 물풀이 다양하고 풍부하기 때문인데, 국가적으로 수생생물의 다양성을 보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지역이기도 하다. 가시연꽃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잎을 가진 식물로 큰 잎은 지름 120㎝에 이른다. 잎몸, 잎자루, 꽃받침에 날카로운 가시가 많아서 우리말이름이 붙여졌다. 한해살이풀이라는 습성도 재미있는데, 대형 물풀이 한해만 살고 죽는다는 것은 수수께끼 같은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맘때 가시로 둘러싸인 채 아름다운 꽃을 피운 후 시들기 시작해서 뿌리까지 죽고, 이듬해 씨에서 새싹이 돋아난다. 전국의 오래된 연못이나 늪에 살지만, 환경부가 멸종위기야생식물로 지정할 만큼 사는 곳이 드문 희귀식물이다. 경산과 영천 일대에 가장 많은 자생지가 있고, 가장 많은 개체가 자라고 있지만 연못 자체가 사라지면서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다. 세계적으로는 대만, 인도, 일본, 중국에도 분포하지만 그곳에서도 희귀식물이다.
● 사는 곳 따라 형태가 다른 물여뀌
물여뀌는 북쪽에 고향을 둔 식물이다. 몽골이나 연해주 같은 북위도 지방에 가면 호숫가에 큰 무리를 지어 자라는 모습을 흔하게 볼 수 있지만, 남한에서는 자생지를 손꼽을 수 있을 정도로 아주 드물다. 우포늪을 비롯하여 몇몇 곳에서만 자생지가 발견되었는데, 영천의 한 저수지에도 살고 있다. 물 위로 올라온 꽃차례에 작은 꽃들이 다닥다닥 달린다. 이 식물의 생태적 습성은 물풀의 특징 가운데 하나인 다형성(多形性), 즉 사는 곳에 따라서 형태가 달라지는 특징을 잘 보여준다. 물속에서 자라는 물여뀌는 넓고 큰 잎이 물 위에 뜨고, 줄기는 가늘고 늘어진다. 하지만 물가 근처의 습지에서 자라는 것은 줄기가 똑바로 서고, 잎은 가늘고 작다. 극단적으로 서로 다른 모습을 하고 있는 둘을 보면 전혀 다른 종으로 착각하기 십상이다.
● 잎 뒷면에 공기주머니 가진 진녹색 자라풀
자라풀은 이맘때 진녹색의 윤기 나는 잎 사이에서 흰 꽃이 핀다. 윤기 나는 잎은 표면에 왁스층이 있어서 물방울이 떨어지면 번지지 않고 데굴데굴 구른다. 잎을 뒤집으면 완전히 다른 모습이다. 아래쪽으로 볼록 솟아오른 것이 자라를 연상케 한다. 큰 공기주머니를 가진 세포들이 잎 뒷면에 있어서 잎이 물에 잘 뜰 수 있게 해준다. 전국에 자라는 물풀이지만 개체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경산과 영천 일대에는 수생식물만 좋은 것이 아니다. 습지 주변의 야트막한 산에서 자라는 식물들 가운데도 눈여겨 볼 만한 것이 많다.
만주에도 사는 좀목형은 만주와 경상도 사이의 다른 지역에는 분포하지 않아 흥미로운 식물이다. 묏대추나무 역시 전국에 자란다고 알려져 있지만 드물게 발견되는 나무로서, 재배 대추의 원종이라 할 수 있다. 부추는 보통 외래종으로 알려져 있지만, 경산과 영천 일대에서 야생하는 것이 발견되어 토종식물이 아닐까 하는 추측을 낳게 한다. 나무의 성질을 가진 풀로서 내륙 쪽 북방한계선에 해당하는 곳에 자라고 있는 층꽃나무도 만날 수 있다. 이 밖에도 개싸리, 꽃싸리, 바위솔 같은 식물들이 이맘때 꽃을 피우고 있다.
추석에 고향 가면 연못과 습지가 옛 모습 그대로인지 살펴보자. 어린 시절에 이름도 모른 채 가까이서 보았던 물풀들이 그대로 있는지 기억을 되새겨 보자. 동무들과 마름 열매를 따던 옛 추억도 더듬어 보자. 그러고 나서 오랜 동안 고향 습지를 말없이 지켜온 물풀들에게 제대로 된 이름을 한 번 불러주자."마름! 가래! 노랑어리연꽃!" 등이라고.
글=현진오 동북아식물연구소장 / 서울신문
'[들꽃산책] 풀과 나무에게 말을 걸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풀꽃이름] 양지꽃, 개망초, 분홍바늘꽃, 솔체꽃, 갈대, 상사화 (0) | 2022.01.28 |
---|---|
[현진오의 꽃따라 산따라] (30) 경북 문경시 조령산 (0) | 2022.01.28 |
[현진오의 꽃따라 산따라] (28) 강원도 동해안 석호습지 (0) | 2022.01.28 |
[현진오의 꽃따라 산따라] (27) 대관령 (0) | 2022.01.28 |
[현진오의 꽃따라 산따라] (26) 경북 문경시 대야산 (0) | 2022.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