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산책] 풀과 나무에게 말을 걸다

[현진오의 꽃따라 산따라] (28) 강원도 동해안 석호습지

푸레택 2022. 1. 28. 08:51

 
 

[현진오의 꽃따라 산따라] (28) 강원도 동해안 석호습지

[서울신문]강원도 동해안에는 석호(潟湖)가 많다. 강릉 경포호에서 북쪽으로 올라가며 주문진 향호·포매호, 속초 청초호·영랑호, 고성 송지호 등을 거쳐 거진 화진포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news.v.daum.net

[현진오의 꽃따라 산따라] (28) 강원도 동해안 석호습지

강원도 동해안에는 석호(潟湖)가 많다. 강릉 경포호에서 북쪽으로 올라가며 주문진 향호·포매호, 속초 청초호·영랑호, 고성 송지호 등을 거쳐 거진 화진포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석호들이 발달해 있다. 석호는 파도에 의해 운반된 모래가 바닷가 쪽에 장벽을 쌓으면서 만들어진 해안호수로서 수심이 얕은 게 특징이다. 좁은 입구를 통해 바닷물이 드나들므로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호수라 할 수 있다. 동해안의 해안석호 주변에는 크고 작은 습지들이 발달해 있다.
석호가 형성된 후에 석호 안의 퇴적물들이 가장자리로 밀려가 쌓이면서 습지를 만들기 때문에 석호 주변에는 어김없이 습지가 발달한다. 석호 자체에 발달하는 이런 습지 외에도 강원도 동해안 일대에는 다양한 규모의 습지들이 여러 곳에 자리잡고 있다. 이들 중에는 원래 석호였지만 바닷물이 드나드는 입구가 메워져서 석호의 기능을 잃은 채 작은 호수나 습지가 된 것도 있고, 지역 자체가 낮아서 만들어진 습지들도 있다. 거진에서 강릉에 이르는 전 지역에 이런 작은 습지들이 산재해 있다. 석호와 석호 일대에 발달한 이런 습지들을 통틀어 석호습지라 부른다.

● 한해살이 좀어리연꽃 드물게 발견


대형 석호들은 생태적으로 이미 많이 파괴된 상태다. 어떤 곳은 매립되었고, 또 어떤 곳은 경관이 아름답기 때문에 각종 개발사업이 이루어져 석호의 생태적 기능이 훼손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과정에서 독특한 환경을 갖춘 이곳에 살고 있어야 할 많은 식물들이 이미 사라지고 말았다. 다행스럽게도, 대형 석호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석호습지들 가운데는 아직까지 원시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는 곳이 더러 있다. 이곳들에는 우리나라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수많은 희귀식물이 자라고 있다. 석호습지에는 물이 고여 있는 중심부에 세모고랭이, 송이고랭이, 큰고랭이 등 비교적 키가 큰 물풀들이 자라고 있고, 주변부에는 갈대, 개발나물, 도루박이, 들통발, 애기부들, 애기수련, 좀어리연꽃, 줄, 질경이택사, 창포, 통발 등이 자란다. 습지 가장자리에는 가는오이풀, 긴잎미꾸리낚시, 물옥잠, 부채붓꽃, 옹굿나물, 진땅고추풀, 꽃창포 등이 자란다.


이맘때 물 위에서 작은 꽃을 피우는 좀어리연꽃은 제주도를 비롯한 전국의 연못에 살지만 매우 드물다. 세계적으로는 일본, 만주, 우수리에도 분포한다. 형제뻘인 노랑어리연꽃이나 어리연꽃에 비해서 전체가 작을 뿐만 아니라 여러해살이풀이 아니라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지름이 5㎜에 불과하다. 양양 일대의 석호습지 몇몇 곳에서 발견된다. 참통발은 물속에 사는 식충식물이다. 줄기에 벌레잡이통이 달려 있는데, 이곳에 갇힌 작은 수서곤충들을 잡아먹는다. 초여름부터 가을까지 물 위로 나온 꽃대 끝에서 피는 노란 꽃이 예쁘다. 대부분의 석호습지에서 발견되며, 몇몇 석호습지에서는 이보다 더 귀한 들통발과 통발도 자라고 있다.

● 애기며느리밥풀, 습지 주변 무리지어 자라

습지를 에워싸고 있는 바깥 부분은 해송이 숲을 이룬 곳이 많다. 해송 숲에는 키 작은 떡갈나무들이 간간이 섞여 자란다. 이맘때 숲 가장자리와 숲 속에서는 개쑥부쟁이, 금불초, 다북떡쑥, 도깨비바늘, 백령풀, 애기며느리밥풀, 절국대, 참골무꽃, 큰벼룩아재비, 해란초 등이 꽃을 피운다. 봄에는 매화노루발을 만날 수 있고, 늦가을에는 둥근바위솔이 무리지어 핀다. 숲 속을 붉게 물들이는 애기며느리밥풀은 석호습지 주변의 숲 속에서 크게 무리를 지어 자란다. 한해살이풀로서 며느리밥풀 종류들 가운데 잎이 가장 가늘다. 중부 이북의 소나무 숲에서 볼 수 있으며, 일본, 만주, 우수리에도 산다. 진한 자줏빛 꽃은 물론이고 꽃을 싸고 있는 수염 달린 꽃싸개잎들도 꽃이 필 시기에 꽃처럼 자줏빛으로 변하기 때문에 더욱 아름답다.


석호습지는 물이 고여 작은 호수의 모습을 하고 있든, 갈대 같은 수생식물들이 들어차 습지의 모습을 하고 있든, 사람들이 별로 좋아하지 않는 땅이다. 쓸모없는 땅이라 여겨져서 매립되기 일쑤다. 주변에는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나팔꽃, 미국쑥부쟁이 같은 귀화식물이 번성하여 고유생태계가 파괴된 곳이 많다. 하지만 양양을 비롯하여 몇몇 곳의 석호습지들은 아직 보전상태가 양호하다. 이곳의 연못 속 작은 세상에는 아직도 많은 생물들이 원시에 가까운 상태로 살아가고 있다. 야생동식물보호법에 의해 환경부장관이 지정하는 야생동식물특별보호구역은 바로 이런 곳을 보전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다. 환경부의 특별보호구역은커녕 지자체장이 지정하는 야생동식물보호지역으로조차 지정되지 않아 보전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현실이 안타깝다. 이런 데를 제쳐 둔 채 어딜 보호구역으로 지정하고 있는지 궁금하기도 하다.

글=현진오 동북아식물연구소장 / 서울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