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산책] 풀과 나무에게 말을 걸다

[현진오의 꽃따라 산따라] (22) 경상북도 울릉군 독도

푸레택 2022. 1. 28. 08:11
 
 

[현진오의 꽃따라 산따라] (22) 경상북도 울릉군 독도

[서울신문]독도는 250만∼460만년 전에 동해의 화산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섬이다. 남해와 서해의 섬들과는 달리 일본열도나 중국대륙은 물론이고 한반도와도 연륙된 적이 없는 대양섬(oceanic island

news.v.daum.net

[현진오의 꽃따라 산따라] (22) 경상북도 울릉군 독도

독도는 250만∼460만년 전에 동해의 화산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섬이다. 남해와 서해의 섬들과는 달리 일본열도나 중국대륙은 물론이고 한반도와도 연륙된 적이 없는 대양섬(oceanic island)이기 때문에 여러 면에서 가치가 크다. 식물학적으로도 이웃한 대양섬 울릉도와 함께 식물진화 연구에 매우 중요한 섬으로 여겨지고 있다. 바다에서 불쑥 솟아난 섬에 자연적으로 들어온 식물들이 독특한 환경에서 변화를 거듭하여 새로운 종으로 진화해 왔기 때문에 식물진화를 연구하기에 더 없이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다. 이런 식물학적 중요성은 일본 시마네현의 오키제도 섬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징으로서 독도와 울릉도의 생물학적 가치를 짐작케 한다.


● 식물진화 연구에 중요한 대양섬… 자생종 많아

독도와 울릉도는 같은 대양섬이지만, 150만년 이상 먼저 생성된 독도가 울릉도의 형님뻘이다. 두 섬은 이처럼 생성연대가 다른 섬으로서 식물학적으로도 서로 다른 면이 있다. 서로 독자적인 경로를 통해 식물이 유입되어 진화해 왔기 때문인데, 이런 점은 독도 생태계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이 되는 것으로서 두 섬의 식물상을 동일시하는 것은 잘못된 시각임을 말해 준다.


독도 식물에 대한 연구는 일제강점기였던 1919년 일본인 나카이에 의해 시작되었지만, 광복 후에는 우리 학자들에 의해 여러 차례 수행되었다. 1952년 이영노의 조사를 시작으로 1958년 이덕봉과 주상우, 1978년 이창복, 1981년 이우철과 양인석, 1998년 영남대민족문화연구소, 2000년 해양수산부, 2001년 양인석 등, 2003년 신현탁 등, 2005년 현진오 등에 의해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들 연구를 종합하면 독도에 살고 있는 식물은 60여 종류로 파악된다.

이들 가운데 오래 전부터 독도에 자연스럽게 들어와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것으로는 개머루, 갯괴불주머니, 갯까치수염, 갯사상자, 갯제비쑥, 댕댕이덩굴, 도깨비쇠고비, 땅채송화, 박주가리, 번행초, 사철나무, 선괭이밥, 섬장대, 술패랭이꽃, 왕김의털, 왕해국, 참나리, 천문동, 초종용, 큰개미자리 등을 꼽을 수 있다. 사람에 의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유입된 식물도 많은데 감자, 갓, 개여뀌, 금강아지풀, 까마중, 마디풀, 무궁화, 방가지똥, 보리밥나무, 섬괴불나무, 섬초롱꽃, 소리쟁이, 쇠비름, 왕호장근, 취명아주, 파, 콩다닥냉이, 해송, 호박 등이 이에 해당한다. 여기에는 감자, 까마중, 쇠비름, 소리쟁이 같은 귀화식물과 재배식물은 물론이고, 식물식재 행사를 통해 심겨진 보리밥나무, 섬괴불나무, 섬초롱꽃, 왕호장근, 해송 같은 것들도 포함된다.

● 식물유입 경로 추적할 수 있는 '번행초´ 주목

면적이 좁고 토양 발달이 미약하기 때문에 독도에는 키가 큰 나무들은 자라지 못한다. 키 작은 떨기나무와 덩굴나무만이 자라고 있는데, 그것도 고작 사철나무, 댕댕이덩굴, 개머루 등이 몇몇 그루 자라고 있을 뿐이다. 댕댕이덩굴과 개머루는 풀처럼 보이는 덩굴나무이기 때문에, 독도를 대표하는 나무는 사철나무라 할 수 있다. 사철나무는 동도와 서도의 수직 암벽에 붙어서 자라고 있으며, 나이가 100살이 넘는 것도 발견되었다. 무궁화, 보리밥나무, 섬괴불나무, 해송처럼 식재행사를 통해 심겨진 나무들도 몇 종이 있지만, 자생종에 비해 학술적 가치가 훨씬 뒤진다. 학술적으로 관심을 끄는 식물 가운데 하나가 번행초인데, 독도 식물 가운데 유일하게 울릉도에는 자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양섬 독도에 식물이 유입된 경로를 유추할 수 있는 좋은 재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동도와 서도 모두에 많은 개체가 생육하고 있다.


● 日 억지 막자고 인공조형물 세웠다간 훼손 우려

인위적으로 유입된 외래식물이 많은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독도에서 인간활동에 의한 훼손압력은 점점 커지고 있다. 동도의 등대, 독도수비대, 서도의 어민숙소에 사람이 거주하면서 인간에 의한 생태계 교란이 늘고 있다. 생활물자와 함께 외부로부터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유입된 외래식물에 더해 근래까지 이루어진 식물심기 행사를 통해 외부로부터 이질적인 식물들이 유입되어 정착함으로써 독도의 식물상은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는 실정이다. 독도 식물과 생태계 보전을 위해서는 독도와 울릉도 식물을 동일시하여 인위적으로 도입하려는 시도에 앞서 독도의 원래 자생종을 판별하는 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를 바탕으로 보전계획도 세우고, 복원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시설물 설치는 외래종의 유입을 촉발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토양침식을 일으키는 공사는 그나마 발달한 식물 생육지를 파괴하는 결과를 낳을 뿐만 아니라 침식된 지점에는 외래식물들이 침입하기 때문이다. 세계적으로 중요한 식물연구 대상지를 영토로 두고서도 생물학적 관점의 생태계 관리방안만이 중요하다고 강조할 수 없는 상황으로 몰리는 현실이 안타깝다. 일본의 억지 주장이 독도 식물생태계를 훼손하는 인공시설물 설치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이다.


글=현진오 동북아식물연구소장 / 서울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