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꾸눈에 외다리이면서 난쟁이 몸을 가진
자존심(열등감)이 아주 강한 왕이 있었습니다.
어느 날, 왕은 그 나라 제일의 화가를 불러
자신의 초상화를 그리게 했습니다. 화가는 왕의 의중을 자기 생각으로 추측하여 다리 둘에, 두 눈에, 보통 키의 정상인의 모습으로 왕을 그렸습니다. 이를 본 왕은 우롱 당한 듯한 모욕감을 느끼고, 그 화가를 처형해 버렸습니다.
다음에 불려온 화가는 먼저 왔던 화가의 운명을 알았기에 현실의 모습 그대로 왕을 그렸습니다. 애꾸눈에, 다리가 하나 밖에 없는 난쟁이가 그려진 그림을 보고 왕은 낙심하고, 그 절망이 분노로 변하여 그림을 그린 화가의 목을 베어 버렸습니다.
세 번째로 불려온 화가는 아무리 이래도 저래도 안 되니 도무지 살아 날 방도가 없었습니다. 그렇지만, 침착하게 심호흡을 하면서 살아날 방도를 곰곰이 생각했고, 결국 그 화가는 왕이 말을 타고 사냥을 하고 있는 옆모습을 그렸습니다.
다리 하나는 말의 반대편에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았고, 총을 겨냥할 때는 성한 사람도 한 쪽 눈을 감기에 이상하지 않았으며, 등을 굽힌 채 말을 타고 있으니 키가 작아 보이지도 않아 자연스럽게 정상인처럼 그려졌습니다. 왕은 이 그림을 보고 크게 기뻐하면서 그 화가에게 큰 상을 내렸습니다.
첫 번째 화가는 사실을 기만하는 거짓을 그려 아부하다 목숨을 잃었고, 두 번째 화가는 첫 번째 화가가 거짓을 그려 죽임을 당했으니 자신은 사실을 그렸지만 자존감이 부족한 왕의 열등감과 트라우마를 헤아리는 혜안의 자비가 없어 목숨을 잃었습니다. 그러나 세 번째 화가는 두 화가의 죽음을 보고 진실을 드러내되 배려가 함께 하는 혜안을 깨우쳐 목숨을 구한 것입니다.
너무 직설적이거나 정 반대로 잔꾀로 가득한 극단적이거나 기만적인 태도보다 배려심을 동반한 지혜가 이 세상을 좀 더 따뜻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너무 고지식한 직설도, 배려심 없는 잔꾀도 모두 다 경계해야 할 일인 듯합니다.
[출처] 친구가 보내온 글 옮김
/ 2021.04.23 편집 택
'[일상의 삶] 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만사] "75세 이상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효과 100%" (2021.04.26) (0) | 2021.04.26 |
---|---|
[좋은글] 감사하는 생활.. 기쁨과 슬픔도 감사 (2021.04.25) (0) | 2021.04.25 |
[세월호 추모시] '숨쉬기도 미안한 사월' 함민복, '난파된 교실' 나희덕, '슬픈 고백' 이해인 (2021.04.16) (0) | 2021.04.16 |
[감동이야기] 매일 사막에 나무를 심는 남자.. 40년 후 놀라운 기적 (2021.04.11) (0) | 2021.04.11 |
[세상만사] '무거운 이불 덮으면 잘 자고 덜 우울하다'.. 이유는? (2021.04.10) (0) | 2021.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