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구가 보내준 '말이 씨가 되다'라는 글을 읽었다. 인터넷으로 출처를 찾아보았으나 원글이 보이지 않는다. 그런 가운데 두 가지 버전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두 버전은 결말이 정반대다. 이곳에 작자 미상인 글 두 편을 모두 실어본다.
1. ? 말에도 복이 있다!?
땀을 뻘뻘 흘리며 아궁이에 장작 넣으랴 주걱으로 가마솥의 조청 저으랴 바쁜 와중에도 추실댁의 머릿속은 선반 위의 엿가락 셈으로 가득 찼다.
아무리 생각해도 모를 일이다. 그저께 팔다 남은 깨엿 서른세 가락을 분명 선반 위에 얹어 뒀건만 엿기름 내러 한나절 집을 비운 사이 스물다섯 가락밖에 남지 않았으니 이건 귀신이 곡할 노릇이다. 방에는 열한 살 난 아들밖에 없고 그 아들은 앉은뱅이라서 손을 뻗쳐 봐야 겨우 문고리밖에 잡을 수 없는데 어떻게 엿가락이 축날 수 있단 말인가.
젊은 과부 추실댁은 박복했다. 추실골 친정 오백 석군 맏딸로 구김살 없이 명랑하고 긍정적으로 자라서 창을 제법 잘하고 글재주도 있었는데 상초리로 시집이라고 와 보니 초가삼간에 산비탈밭 몇마지기뿐인 찢어지게 가난한 집안에다 신랑이란 게 골골거리더니 추실댁 뱃속에 씨만 뿌려 두고 이듬해 덜컥 이승을 하직하고 말았다.
장사를 치르고 이어서 유복자를 낳았다. 유복자 하나만 믿고 악착같이 살아가는데 두 해가 지나고 세 해가 지나도 유복자는 일어설 줄을 몰랐다. 앉은뱅이 유복자 다리를 고치려고 팔도강산 용하다는 의원을 찾아다니며 온갖 약재를 다 써 봤지만 괜한 밭뙈기만 날렸다.
할 수 없이 추실댁은 엿장수를 시작했다. 깨엿을 만들어 소쿠리에 담아 머리에 이고 이집 저집 다니며 엽전도 받고 곡식도 받으며 하루하루 살아왔다.
유복자는 걷지는 못해도 여간 똑똑한 게 아니었다. 여섯살 때 업어다 서당에 보냈더니 어찌나 총기가 있는지 천자문을 두 달만에 떼고 사자소학을 석 달만에 뗐다.
추실댁이 엿장수를 하느라 서당에 못 데려다 주자 집에서 독학한 글공부가 일취월장, 사서를 파기 시작했다. 추실댁은 먹고사는 게 급해 다른 걸 생각할 겨를이 없었다.
엿가락 수가 축난 건 그저께뿐이 아니다. 올여름 들어서 축나기 시작하더니 요즘은 부쩍 잦아졌다.
“나, 장에 갔다 올 테니 집 잘 보고 있거라.”
범인을 잡기 위해 추실댁은 삽짝을 나가 골목에서 발길을 돌려 열어놓은 장지문을 통해 몰래 부엌으로 들어가 문구멍으로 안방의 동태를 살폈다.
그런데 이럴 수가! 앉은뱅이 유복자가 주머니에서 실에 묶인 사슴벌레를 꺼내더니 벽에 붙이자 이놈이 단 냄새를 맡고 엉금엉금 기어올라 엿바구니에서 엿 한가락을 붙잡자 아들 녀석이 실을 잡아당기는 것이 아닌가.
그때 이 방정맞은 어미란 게 ‘쾅’ 문을 열고
“에라, 이 도둑놈아!”하고 고함을 치니 깜짝 놀란 아들이 입에 거품을 물고 자지러졌다.
그날의 충격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유복자는 성큼성큼 걷기 시작했고, 몇 년 후 장안의 대도둑이 됐다.
추실댁은 땅을 치며 회한에 울었다. 그때 “에라, 이 도둑놈아”라고 할 게 아니라 “너 참 머리 좋다. 천문을 깨우칠 재주다”라고 했어야 했는데.
2. ? 말에도 복이 있다~!?
땀을 뻘뻘 흘리며, 아궁이에 장작 넣으랴 주걱으로 가마솥의 조청 저으랴 바쁜 와중에도 마성댁의 머릿속은 선반 위의 엿가락 셈으로 가득 찼다.
아무리 생각해도 모를 일이다. 그저께 팔다 남은 깨엿 서른세 가락을 분명 선반 위에 얹어 뒀건만 엿기름 내러 한나절 집을 비운 사이 스물다섯 가락밖에 남지 않았으니 이건 귀신이 곡할 노릇이다.
방에는 열한 살 난 아들밖에 없고 그 아들은 앉은뱅이라서 손을 뻗쳐 봐야 겨우 문고리밖에 잡을 수 없는데 어떻게 엿가락이 축날 수 있단 말인가.
젊은 과부 마성댁은 박복했다. 마성골 친정 오백 석군 맏딸로 구김살 없이 명랑하고 긍정적으로 자라서 창을 제법 잘하고 글재주도 있었는데 상초리로 시집이라고 와 보니 초가삼간에 산비탈밭 몇 마지기뿐인 찢어지게 가난한 집안에다 신랑이란 게 골골거리더니
마성댁 뱃속에 씨만 뿌리고 이듬해 덜컥 이승을 하직하고 말았다.
장사를 치르고 이어서 유복자를 낳았다. 유복자 하나만 믿고 악착같이 살아가는데 두해가 지나고 세 해가 지나도 유복자는 일어설 줄을 몰랐다. 앉은뱅이 유복자 다리를 고치려고 팔도강산 용하다는 의원을 찾아다니며 온갖 약재를 다 써 봤지만 괜한 밭뙈기만 날렸다.
할 수 없이 마성댁은 엿장수를 시작했다. 깨엿을 만들어 소쿠리에 담아 머리에 이고 이집 저집 다니며 엽전도 받고 곡식도 받으며 하루하루 살아왔다.
유복자는 걷지는 못해도 여간 똑똑한 게 아니었다. 여섯살 때 업어다 서당에 보냈더니 어찌나 총기가 있는지 천자문을 두 달 만에 떼고 사자소학을 석 달 만에 뗐다.
마성댁이 엿장수를 하느라 서당에 못 데려다 주자 집에서 독학한 글공부가 일취월장, 사서를 파기 시작했다. 마성댁은 먹고 사는 게 급해 다른 걸 생각할 겨를이 없었다.
엿가락 수가 축난 건 그저께뿐이 아니다. 올여름 들어서 축나기 시작하더니 요즘은 부쩍 잦아졌다. “나, 장에 갔다 올 테니 집 잘 보고 있거라.” 범인을 잡기 위해 마성댁은 삽짝을 나가 골목에서 발길을 돌려 열어 놓은 장지문을 통해 몰래 부엌으로 들어가 문구멍으로 안방의 동태를 살폈다.
그런데 이럴 수가! 앉은뱅이 유복자가 주머니에서 실에 묶인 사슴벌레를 꺼내더니 벽에 붙이자 이놈이 단 냄새를 맡고 엉금엉금 기어올라 엿 바구니에서 엿 한가락을 붙잡자 아들 녀석이 실을 헥 잡아당기는 것이 아닌가.
그때 마성댁이 ‘쾅’ 문을 열고, “머리 좋은 우리 아들 정승 판서 될 재주구나!”하고 고함을 치니 깜짝 놀란 아들이 입에 거품을 물고 자지러졌다. 그날의 충격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유복자는 성큼성큼 걷기 시작했고, 몇 년 후 특별과거시험인 알성시에서 장원급제 해 문경현감, 이조정랑, 충청도 관찰사, 공조판서를 거쳐 정승의 반열에 올랐다.
만약 그때 마성댁이 “에라, 이 도둑놈아” 그랬더라면 똑똑한 머리로 사기꾼 도둑이 되어 결국 말년에 참수를 당했을 것이다.
자식은 못 마땅해도 덕담으로 욕을 해야 한다.
[출처] 작자 미상, '받은 글' 옮김
/ 2021.02.20 편집 택
youtu.be/xHddPDz8OuU?list=TLPQMjAwMjIwMjEc9mdWN2wZjQ
youtu.be/NWv6aEYDcd8?list=TLPQMjAwMjIwMjEc9mdWN2wZjQ
youtu.be/5WCRwxAuCWU?list=TLPQMjAwMjIwMjEc9mdWN2wZjQ
'[일상의 삶] 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동실화] 시골 버스의 기다림, 마지막 선물, 어느 병원장의 일기, 저기 우리 어머니가 오십니다 (2021.02.21) (0) | 2021.02.21 |
---|---|
[감동글] 선과 악, 아내를 두고 떠난 남편 (2021.02.21) (0) | 2021.02.21 |
[감동실화] 어느 산모의 기적, 기적을 이뤄낸 모성애 (2021.02.20) (0) | 2021.02.20 |
[감동글] '황혼이어라'..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어느 의사가 쓴 글 (2021.02.19) (0) | 2021.02.19 |
[생각의숲] 파레토의 법칙, 100마리째 원숭이의 현상 (2021.02.15) (0) | 2021.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