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규홍의 큰 나무 이야기] 70년 만에 꽃 피운 물푸레나무 (daum.net)
[고규홍의 큰 나무 이야기] 70년 만에 꽃 피운 물푸레나무
북유럽 신화에서 세상을 연 건 한 그루의 나무였다. 땅 깊은 곳에서 한 그루의 나무가 기지개를 켜고 하늘을 들어올리며 세상이 열렸다. 이른바 우주목 신화다. 이그드라실이라고 불리던 이 물
v.daum.net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물푸레나무를 찾아낸 건 경기 화성시 전곡리의 마을숲에서였다. 나무높이 20m에 350년 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고 가장 오래된 물푸레나무다. 마을 당산나무이자 정자나무였던 이 나무는 한국전쟁 때 마을이 소개되자, 정자나무로서의 쓰임새를 잃었으며, 사람이 찾지 않는 나무는 당산나무로서의 지위도 잃었다.
나무의 가치가 인정되며 천연기념물 지정 절차를 밟은 건 2003년이었다. 이때 신비로운 일이 벌어졌다. 사람의 기억에서 가뭇없이 사라져가던 늙은 물푸레나무가 꽃을 피웠다. 긴 세월 동안 한 번도 꽃핀 적이 없던 나무라는 게 바로 곁에서 70년 넘게 살아온 마을 노인의 증언이다. 나무가 꽃을 피워야 할 이유는 아무것도 없었다. 나무의 상태를 꼼꼼히 조사하기 위해 사람이 드나들자, 나무는 반가움의 표시를 하려던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이듬해인 2005년에는 꽃을 피우지 않았지만 그게 끝이 아니었다. 천연기념물 심사 과정을 거쳐 2006년 4월에 천연기념물로 지정 완료되자, 곧바로 다시 두 번째 개화를 이뤘다. 첨단 과학으로 설명되지 않는 나무의 신비다. 나무와 사람이 더불어 살아간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를 곰곰 생각하게 하는 큰 나무다.
고규홍 나무 칼럼니스트ㅣ경향신문 2022.08.09
/ 2022.08.28 옮겨 적음
'[자연과학] 생태 과학 칼럼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충신의 꽃·나무카페] '자귀나무'.. 공작새 꽁지 닮은 부부금슬 상징 (0) | 2022.08.29 |
---|---|
[고규홍의 큰 나무 이야기] 2억 5000만원 들인 팽나무의 이사 (0) | 2022.08.28 |
[김민철의 꽃이야기] '혼불' 강실이가 익모초 보고 울컥한 이유 (0) | 2022.08.28 |
[김범준의 옆집물리학] 이해할 수 있든 없든 복잡계는 복잡계다 (0) | 2022.08.21 |
[김민철의 꽃이야기] '꽃궁기'에 눈길 끄는 마타리·뚝갈 남매 (0) | 2022.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