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하는 과학 이야기 (6)
지난달 울릉도를 방문해 생태 환경을 조사하다가 민물고기인 미꾸리를 발견했다. 화산암 지형인 울릉도는 물이 땅속으로 잘 스며들어 민물고기가 살기 어려운 환경이다. 그런 곳에서 미꾸리를 발견하니 참 반가웠다. 예전에 육지에 살던 미꾸리를 가져다 울릉도 하천에 풀어 놓은 일이 있는데, 이번에 보고 온 미꾸리는 그들의 후손일 것이다.
미꾸리는 미꾸라지와 같은 ‘미꾸릿과’에 속하는 물고기다. 미꾸릿과 어류는 약 2200만 년 전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인류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지구에 살고 있었던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미꾸리와 미꾸라지를 포함해 총 17종의 미꾸릿과 어류가 살고 있다. 이들의 조상은 오랜 옛날 중국 황허와 러시아 아무르강 유역에 살았던 물고기다. 이들은 과거 어느 시점에 강의 지류(큰 강에서 갈라진 작은 물줄기)를 따라 한반도에 들어왔을 것이다. 그러다 해수면 상승, 지진 등으로 지형이 바뀌면서 서로 떨어져 살게 됐을 것이다.
그렇게 떨어져 살게 된 민물고기는 다시 한데서 만나기 어렵다. 자신이 살고 있는 강의 물줄기를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일정한 수계(큰 강의 물줄기)에 갇혀 살면서 환경에 맞춰 각기 다른 모습으로 진화한다.
따라서 원래는 같은 종이었던 물고기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완전히 다른 종이 되곤 한다. 우리나라에 사는 미꾸릿과 어류도 서식하는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미꾸릿과 어류는 지리적으로 분리돼 살아가는 생물이 서로 다른 종으로 나뉘는 ‘종 분화’의 구체적인 사례다. 별로 눈여겨보지 않았던 작은 물고기에도 오랜 진화의 역사가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홍양기 국립중앙과학관 연구사ㅣ한국경제 2022.06.28
/ 2022.07.09 옮겨 적음
'[자연과학] 생태 과학 칼럼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하는 과학 이야기] (8) 한국 최초 달 탐사에 나서는 '다누리' (0) | 2022.07.09 |
---|---|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하는 과학 이야기] (7) 자율주행 자동차는 어떻게 스스로 움직일까? (0) | 2022.07.09 |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하는 과학 이야기] (5) 우리 조상들의 냉장고, 석빙고에 담긴 과학 (0) | 2022.07.09 |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하는 과학 이야기] (4) 적응과 진화의 왕 곤충의 생존 전략 (0) | 2022.07.09 |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하는 과학 이야기] (3) 올 여름엔 '과학 바캉스'를 즐겨보자 (0) | 2022.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