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방사선과 돌연변이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하는 과학 이야기 (2) ‘인터스텔라’ ‘마션’ 등의 영화를 보면 우주를 탐험하고 여행하는 상상을 하게 된다. 민간 우주선도 나왔으니 우주여행 시대가 곧 다가올 것 같
news.v.daum.net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하는 과학 이야기 (3)
어느새 2022년이 절반 가까이 지나가고 있다. 한 달 반 정도만 더 열심히 공부하면 즐거운 여름 방학을 맞는다. 아직 좀 이르긴 하지만 더위를 식히고 과학 지식도 얻을 수 있는 바캉스 방법을 소개한다. 과학관으로 떠나는 바캉스, ‘과캉스’다.
평소 가고 싶었던 과학관에 가 보는 것도 좋고, 특별히 점찍어 둔 곳이 없다면 가족과 피서를 떠나는 김에 근처에 있는 과학관을 찾아가도 좋다. 국립과학관 5곳(대전, 부산, 대구, 광주, 경기 과천)을 비롯해 종합 과학관만 전국에 29곳이 있다. 자연·생태(40곳), 천문·지질(29곳), 해양(25곳), 우주(9곳), 동물(7곳) 등 주제별 과학관도 많다
과학관 위치와 전시 주제에 관한 정보는 전국 과학관 길라잡이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여기에선 주제별, 지역별로 과학관을 찾아볼 수 있다.
어느 과학관으로 갈지 정했다면 어떻게 즐길지도 생각해 보자. 과학관 관람은 편한 시간을 택해 자유롭게 할 수도 있고 정해진 시간에 맞춰 해설사의 설명을 들으며 할 수도 있다. 여름에는 과학관마다 상설 전시 외에 특별 전시도 많이 열리니 관심이 가는 특별전이 있는지 찾아보는 것도 좋다. 과학과 좀 더 친해지고 싶다면 일정한 수강료를 내고 교육 체험 프로그램을 수강하거나 과학 캠프에 참여해 볼 것을 권한다.
과학관에 직접 가는 것이 어렵다면 비대면 관람 체험을 활용할 수도 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대부분의 과학관이 가상현실(VR) 등을 활용한 온라인 비대면 관람 서비스를 강화했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으로 집에서도 전국에 있는 과학관을 둘러볼 수 있다. 올여름엔 과학 속에서 휴식하고 과학과 함께 뛰어노는 ‘과캉스’를 즐겨보자.
김홍정 국립중앙과학관 연구사ㅣ한국경제 2022.06.02
/ 2022.07.09 옮겨 적음
'[자연과학] 생태 과학 칼럼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하는 과학 이야기] (5) 우리 조상들의 냉장고, 석빙고에 담긴 과학 (0) | 2022.07.09 |
---|---|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하는 과학 이야기] (4) 적응과 진화의 왕 곤충의 생존 전략 (0) | 2022.07.09 |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하는 과학 이야기] (2) 우주방사선과 돌연변이 (0) | 2022.07.09 |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하는 과학 이야기] (1) 외계 생명체 찾아낼까?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에 쏠리는 관심 (0) | 2022.07.09 |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보리수'라는 이름의 식물 (0) | 2022.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