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 생명체 찾아낼까?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에 쏠리는 관심 (daum.net)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하는 과학 이야기 (1)
우주는 어떻게 탄생했으며, 초기 우주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지구 밖 외계 생명체는 과연 존재할까. 수많은 과학자가 오랫동안 해 온 질문들이다. 이런 의문을 풀어 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우주 망원경이 있다. 작년 12월 25일 발사에 성공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웹망원경)’이다.
웹망원경은 1990년 인류가 최초로 우주에 발사한 허블 망원경의 뒤를 이을 우주 망원경이다. 인류가 지금껏 개발한 우주 망원경 중 가장 크고 성능도 우수하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유럽우주국(ESA), 캐나다우주국(CSA)이 22년간 10조원 넘는 연구비를 투자해 개발했다. 과학자들은 웹망원경이 별과 은하의 탄생과 진화, 블랙홀의 비밀 등에 관해 새로운 발견을 해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외계 생명체의 존재 증거를 찾아낼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웹망원경은 18개의 육각형 거울로 우주를 관측한다. 거울의 지름은 6.5m로 허블 망원경(2.4m)의 2.7배 정도 된다. 사물을 눈으로 볼 때보다 100만 배 확대해서 볼 수 있다. 태양열과 빛으로부터 망원경을 보호하는 테니스 코트 크기의 차단막도 달려 있다. 지구에서 약 150만㎞ 떨어진 곳에서 행성과 별, 은하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현재 시험 가동 중인 웹망원경은 오는 6월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 앞으로 5년간 우주 관측 임무를 수행한다. 6월 말엔 웹망원경이 처음 관측한 ‘퍼스트 라이트(first light)’ 사진을 지구에 보내올 예정이다. 인류가 개발한 가장 우수한 우주 망원경에 비친 우주는 어떤 모습일지 벌써부터 기대된다.
백창현 국립중앙과학관 기상연구관ㅣ한국경제 2022.05.19
/ 2022.07.09 옮겨 적음
'[자연과학] 생태 과학 칼럼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하는 과학 이야기] (3) 올 여름엔 '과학 바캉스'를 즐겨보자 (0) | 2022.07.09 |
---|---|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하는 과학 이야기] (2) 우주방사선과 돌연변이 (0) | 2022.07.09 |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보리수'라는 이름의 식물 (0) | 2022.07.09 |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나팔꽃, 정원에서 화분으로/식물세밀화가 (0) | 2022.07.09 |
[만고땡의 식물 이야기] 무수한 실패 끝에.. 나도 잘 키울 수 있구나 (0) | 2022.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