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하 시인의 ‘내 영혼을 움직인 시’ (35) / 산업화의 그늘 - 윤한로의 ‘분교 마을의 봄’ - 뉴스페이퍼 (news-paper.co.kr)
[이승하 시인의 ‘내 영혼을 움직인 시’] (35) 산업화의 그늘 - 윤한로의 ‘분교 마을의 봄’
분교 마을의 봄 / 윤한로
우리 분교 마을엔
산 너머 너머 언니가
가는 체로 쳐 보낸
고운 바람
사택 울타리엔
노란 봄
먼 산엔
붉은 봄
하늘엔
뻐꾹 봄
손등엔
쓰린 봄
내 마음엔
산 너머 너머 언니가
튼 손 씻어주던
아직도 작년 봄
― <조선일보>(1981. 1 5)
<해설>
도시로 떠나간 언니가 올해엔 왜 오지 않는 것일까. 분교가 있는 마을이니 산간벽지다. 작년 봄에는 언니가 와서 화자의 튼 손을 씻어주었는데 올해는 개나리와 진달래가 피어도 오지 않는다. “가는 체로 쳐 보낸/ 고운 바람”은 지극히 시적이다. 비유가 눈부신데, “손등엔/ 쓰린 봄”에 이르면 가슴 뭉클한 감동을 준다. 산 너머 너머로 간 언니가 올해에는 오지 않으니 어린 동생은 슬프고 서럽다.
우리나라의 1960~70년대는 이른바 ‘개발연대’로, 시골의 많은 언니와 오빠, 누나들이 도시의 공단으로 일자리를 찾아 떠나간 때였다. 공장으로만 간 것이 아니다. 버스차장이 되기도 했고 작부나 창녀로 전락하기도 했다. 남자들은 대개 공장이 아니면 건설현장으로 갔고 트럭을 몰기도 했다. 1970년 봉제공장 노동자 전태일의 분신자살사건이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있었으니, 지켜지지 않는 근로기준법이었다. 그러니까 이 동시는 사실 동심의 아픔과 가족의 해체를 노래한, 지극히 현실참여적인 시였다. 게다가 1981년 신춘문예 동시 당선작이었으니 주제나 발표시기로 보아 논란이 될 수 있었는데 다행히도 그냥 넘어갔다.
시인은 대학에 아주 오래 다녔고, 고등학교 교사가 되었고, 천주교인이 되었다. 시는 발표하지 않은 채 세월을 계곡물처럼 흘려보내더니 2015년, 등단 34년 만에 첫 시집 『메추라기 사랑 노래』를 펴냈다.
<이승하 시인 약력>
1984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 1989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소설 당선.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시집 『공포와 전율의 나날』, 『감시와 처벌의 나날』, 『아픔이 너를 꽃피웠다』, 『나무 앞에서의 기도』, 『생애를 낭송하다』 등과 소설집 『길 위에서의 죽음』을 펴냄. 산문집 『시가 있는 편지』, 『한밤에 쓴 위문편지』, 평전 『마지막 선비 최익현』, 『최초의 신부 김대건』 등을, 문학평론집 『세속과 초월 사이에서』, 『한국문학의 역사의식』, 『욕망의 이데아』, 『한국 현대시문학사』(공저) 등을 펴냄. 시창작론 『시, 어떻게 쓸 것인가』도 있음. 지훈상, 시와시학상, 가톨릭문학상, 편운문학상 등을 수상. 현재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출처 : 뉴스페이퍼 2019.05.19
/ 2022.03.28 옮겨 적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