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등'이라는 이름의 쉼터 (daum.net)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등'이라는 이름의 쉼터
식물을 선물할 일이 있거나 빈 화분에 심을 식물이 필요할 때면 양재꽃시장에 간다. 관엽식물, 난과식물, 허브식물, 야생화, 분재, 구근식물까지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분화류를 한눈에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교 때는 수업 준비물을 사러 이곳에 자주 들렀다. 허브 원예학 시간에 필요했던 민트 화분, 재배학 과제 주인공이었던 튤립 구근 등. 꽃시장이 워낙 넓다 보니 식물을 다 구경하고 나면 기운이 빠지는데 그때마다 나는 경매장 옆 벤치에 앉아 잠시 쉬곤 했다.
이맘때 등나무는 보라색 꽃을 풍성하게 드리운다. 긴 꽃송이는 아래로 처지면서 진한 꽃 향을 뿜는다. 우리나라에선 등, 참등, 왕등나무, 조선등나무라고도 부른다.
그 벤치의 지붕은 등나무 덩굴줄기로 얽혀 있다. 이맘때면 보라색 꽃송이가 풍성하게 달리기 때문에 지나가던 사람들도 벤치에 들러 사진을 찍는다. 식물을 실컷 구경하고 등나무 아래 벤치에서 쉬며 등꽃 향을 맡는 것은 오월 양재꽃시장에 가면 누릴 수 있는 호사다.
도시 화단과 정원, 그리고 도로 옆의 가로수는 도시 미화를 위한 관상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사람들은 식물에 화사한 꽃이 피거나 특이한 열매가 맺는 게 아니면 이들을 잘 쳐다보지 않는다. 식물은 그저 같은 자리에 늘 배경처럼 존재하기 때문이다.
근데 등나무는 다르다. 꽃이 피거나 열매를 맺는 시기가 아니더라도, 한여름 더위에 그늘이 필요하거나 갑자기 비가 쏟아질 때 사람들을 자신 곁에 불러들이는 힘을 가졌다. 덩굴식물인 등나무는 지주목을 타고 올라가 지붕을 덮는 형태로 자란다. 이들이 우리의 그늘이 될 수 있게 된 것은 생장이 빠르고 추위에도 강하며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기 때문이다. 잘 자라지만 까다롭지 않고, 아름다운 꽃을 피워 이목을 끌며 자연 그대로의 건축물을 만들어 주는 식물. 이것이 등나무가 도시에 온 이유다.
등나무속은 세계적으로 약 6종이 분포하고, 우리가 도시에서 자주 보는 등나무는 플로리분다라는 종이다. 플로리분다 종 외에도 중국 원산의 시넨시스라는 종이 세계에 널리 심겨졌는데, 이 종은 중국에 파견된 차 검사관 존 리브스에 의해 유럽으로 전해졌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식물학 잡지인 ‘커티스 매거진’에는 당시 유럽으로 건너간 시넨시스 종의 첫 그림 기록이 실렸다. 이 그림을 통해 유럽 사람들에게 소개되고 육성돼 후에 전 세계 정원에 심어졌다.
지금 한창 등나무가 꽃을 길게 늘어뜨리기 시작했다. 꽃송이에 달린 보라색 꽃을 하나 떼어 자세히 들여다보니 꽃잎에 형광 노란색 무늬가 작게 보였다. 매개동물에게 보내는 꽃의 신호로 추정된다.
느티나무는 오래전부터 마을 입구에서 수호목 역할을 했다. 키가 큰 느티나무는 그늘을 만들어 마을 사람들의 쉼터가 돼 주었다.
시간이 지나고 꽃이 지면 등나무에는 열매가 열릴 것이다. 콩과식물이 그렇듯, 등나무도 긴 꼬투리에 씨앗이 여러 개 달리고, 가을이면 이 꼬투리에서 씨앗이 나온다. 봄에는 화려한 꽃을 보느라 등나무 아래에서 줄곧 위를 올려다보지만 가을이 되면 땅에 떨어진 꼬투리와 씨앗을 보느라 등나무 아래 땅을 내려다보기 일쑤다. 이것 역시 등나무가 만들어 내는 가을 풍경이다.
전북 무주군에는 특별한 공설운동장이 있다. 20여년 전까지만 해도 사람들은 이곳을 잘 찾지 않았다. 당시 군수가 주민들에게 왜 공설운동장에 오지 않는지 물어보니 관객석이 땡볕이라 더워 죽겠는데 왜 거길 가겠느냐는 대답을 했다고 한다. 군수는 ‘등나무 그늘’이란 아이디어를 냈고, 리모델링을 담당한 정기용 건축가는 운동장 울타리에 등나무 240여그루를 심었다고 한다.
생장이 빠른 등나무는 1년이 지나자 줄기와 잎이 풍성해졌다. 그 사이 운동장도 전반적으로 손을 봤다. 그렇게 공설운동장은 ‘무주 등나무 운동장’이라는 이름으로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장소가 됐다. 나는 이 이야기를 참 좋아한다. 막대한 예산을 들여 새로운 건축물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나무를 심는 자연적인 해결 방법을 찾았다는 데서, 미래의 조경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을 제시해 준 가장 좋은 예가 아닌가 싶다.
도시 곳곳에서는 이미 건축물이 나무 그늘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나무 대신 건축물을 세우는 이유야 여럿 있지만 식물 곁에는 곤충이 꼬일 수밖에 없고, 나무를 꾸준히 관리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등나무가 아니더라도 그늘을 제공할 정도의 나무라면 키가 꽤 커야 하는데 사람들은 도시에 큰 나무를 심는 것을 꺼려 한다. 높다란 양버즘나무와 느티나무는 간판을 가린다는 민원을 자주 받는다. 아파트 저층에 사는 주민의 햇빛과 시야를 가리고, 나무뿌리가 땅을 파고들어 건축물의 안전에 해가 된다며 최근 새로 짓는 아파트 화단에는 큰 나무를 잘 심지 않는다. 그렇게 시간이 갈수록 우리는 나무 그늘 아래서 잠시 쉬어 가는 경험을 할 기회를 점점 잃어간다.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서울신문 2021.04.29
'[들꽃산책] 풀과 나무에게 말을 걸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마스크 너머 풍겨 오는 댕강나무 꽃향기 (0) | 2022.02.13 |
---|---|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클레마티스의 꽃받침을 보셨나요 (0) | 2022.02.13 |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지금 땅을 내려다보면 (0) | 2022.02.13 |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할미꽃을 다시 들여다봐 주세요 (0) | 2022.02.13 |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봄의 징조를 찾아보세요 (0) | 2022.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