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지금 땅을 내려다보면 (daum.net)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지금 땅을 내려다보면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식물들을 보는 즐거움으로 지내는 요즘이다. 다채로운 봄꽃과 연두색 새싹이 만들어 내는 풍경 때문에 나는 밖에만 나가면 주변을 두리번거리곤 한다. 내가 살고 있는 경기 동북부 지역은 서울보다 식물의 개화가 한 주 정도 늦다. 지금 막 왕벚나무의 꽃이 지고 앵도나무와 조팝나무가 꽃을 피우기 시작했다. 이렇듯 식물의 본격적인 생장이 시작되는 4월이면 빠르게 피고 지는 봄꽃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기록해야 하기에 마음이 조급해진다. 식물의 생장 속도만큼 바삐 움직여야 한다.
최근 수목원에서 한국특산식물이자 복사나무와 앵도나무의 교잡종인 복사앵도나무를 봤다. 지난해까지 쭉 관찰해 온 식물인데, 스케치를 마저 완성하기 위해 올해도 이 나무를 찾았다. 그러나 올해 봄꽃의 개화가 전반적으로 빨라서인지 이미 꽃이 핀 지 오래돼 꽃을 관찰하기 위해 만지자 꽃잎이 우수수 떨어져 버렸다. 수술만 남은 꽃받침을 보고는 허무해졌다.
중국 원산의 백목련은 우리나라 기후와 토양에 잘 맞고 도시 적응력이 좋아 조경식물로 많이 활용된다. 우리가 도시에서 볼 수 있는 목련은 대부분 백목련이다.
벚나무속 식물의 꽃은 작업실 책상 위까지 온전한 상태로 가져가는 것이 유독 힘들다. 조금만 잘못 건드리면 꽃잎이 분리되거나 얇게 말리기 때문이다. 식물세밀화를 그릴 때 가장 유의해 관찰해야 하는 식물의 부위는 아무래도 생식기관인 꽃과 열매다. 그리고 그 꽃이라는 부위는 보통 꽃잎이란 존재로 여겨지기 마련이다. 우리는 꽃잎의 색으로 꽃 색을 말한다. 꽃잎이 없는 꽃, 다시 말해 꽃잎 대신 포엽이 있는 포인세티아와 같은 식물의 꽃은 꽃이라 생각하지 않기도 한다.
꽃잎은 번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건 아니지만 바깥에서 꽃 내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매개동물을 불러들여 수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렇게 꽃의 최전방에서 수술과 암술을 지키는 꽃잎은 앵도나무처럼 한 장씩 떨어지기도 하며 나팔꽃처럼 하나의 통꽃잎으로 이뤄져 있기도 하다. 시들 때까지 꽃에서 꽃잎이 분리되지 않고 땅에 떨어질 때까지도 온전한 형태를 유지하는 꽃이 있는 반면, 지금 개화 막바지에 다다른 목련속 식물은 꽃이 다 피지 않은 봉오리 상태일지라도 빗줄기나 바람의 자극에 꽃잎이 상처를 입고 갈변하거나 개화하기 전 땅에 떨어져 버리기도 한다. 꽃의 온전한 모습을 기록해야 하는 내게 목련은 언제나 까다로운 대상이다.
북한의 국화이자 5월에 꽃을 피우는 함박꽃나무는 목련속 식물 중 한 종이다. 북한에서는 이 식물을 목란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목련을 그릴 때엔 더욱 조심히 생체를 다룰 수밖에 없다. 꽃잎이 어딘가에 닿거나 긁히기라도 하면 상처가 나고 변해 제 색을 관찰하지 못할 것이기에 가지를 가위로 채집하고 봉투에 넣어 이동하면서 목련 꽃만큼은 수시로 상태를 확인한다.
언젠가 지인으로부터 목련 꽃은 필 때는 참 아름다운데 질 때는 지저분하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 도시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백목련의 흰 꽃잎은 다른 색에 비해 갈변하는 모습이 눈에 잘 띄기 때문이다. 물론 목련 꽃잎은 흰색만이 아니다. 노란색, 분홍색, 자주색, 보라색 등 다양하다. 지금 충남 태안의 천리포수목원에 가면 색색의 다채로운 목련을 만날 수 있다. 5월이 되면 숲에서는 목련속 식물 중 한 종인 함박꽃나무가 핀다. 함박꽃나무는 백목련보다 훨씬 새하얀 꽃잎을 가졌다.
상처 없이 온전한 상태의 목련 꽃을 보기 어렵다 보니 종종 상처 하나 나지 않은 완전한 개화 상태의 목련을 만나면 무척이나 감격하게 된다. 목련은 수술과 암술, 씨방, 꽃잎과 꽃받침이 제 위치에 있는 당연한 사실조차 감사한 마음이 들게 한다. 게다가 연구자들은 목련이야말로 최초의 꽃 형태라고 말한다. 수련과 더불어 나무의 연, 목련 역시 가장 원시적인 꽃 형태로 볼 수 있다.
며칠 전 문득 내 발밑에 있던 목련 꽃잎을 보고 뿌리에서 줄기가 나고 잎과 꽃이 피며 열매를 맺는 것만이 식물의 삶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자신의 역할을 다한 꽃잎이 꽃으로부터 분리돼 땅에 떨어지고 색이 변하며 썩어 가는 것 역시 식물 생애의 한 과정이 분명하다. 며칠 전 본 영화 ‘아호, 나의 아들’에는 이런 대사가 나온다. “세상에서 가장 공평한 것은 태양이다. 위도가 어떻든 지구상 모든 곳엔 한 해 동안 똑같은 총량의 낮과 밤이 있다.”
나는 태양이 내게 준 낮과 봄이라는 시간을 열심히 그리고 잘 쓰고 싶다. 그것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결국 이 계절이 내게 주는 최대한 많은 식물 풍경을 눈에 담고 기록하는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나는 길에 떨어진 갈색 목련 꽃잎이 만들어 내는 풍경마저도 소중히 지켜보기로 했다.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서울신문 2021.04.15
'[들꽃산책] 풀과 나무에게 말을 걸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클레마티스의 꽃받침을 보셨나요 (0) | 2022.02.13 |
---|---|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등'이라는 이름의 쉼터 (0) | 2022.02.13 |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할미꽃을 다시 들여다봐 주세요 (0) | 2022.02.13 |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봄의 징조를 찾아보세요 (0) | 2022.02.13 |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산불로 희생된 유칼립투스를 기억하며 (0) | 2022.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