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먼저 된 자와 나중 된 자 (daum.net)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먼저 된 자와 나중 된 자
[서울신문]수백 년간 서양이 세계를 압도해 왔기에 서양 문명이 원래 우월한 것으로 지레짐작할지 모른다. 천만의 말씀이다. 서기 8세기부터 12세기까지 서유럽은 이슬람권에 비해 야만의 수준
news.v.daum.net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먼저 된 자와 나중 된 자 / 박상익 우석대 역사교육과 초빙교수
수백 년간 서양이 세계를 압도해 왔기에 서양 문명이 원래 우월한 것으로 지레짐작할지 모른다. 천만의 말씀이다. 서기 8세기부터 12세기까지 서유럽은 이슬람권에 비해 야만의 수준을 면치 못했다. 11세기 팔레스타인에 출현한 기독교 십자군을 아랍인은 미개한 침입자로 간주했다. 서유럽은 이슬람권의 눈부신 학문적 성취를 접하고 경탄을 금치 못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아이들’의 저자 리처드 루빈스타인은 중세 유럽인에게 이슬람의 학문은 마치 ‘스타게이트’(행성 간의 우주 여행을 할 수 있는 문으로 들어가는 입구)와도 같은 것이었다고 말한다. 미개한 서유럽이 선진 이슬람 문명을 스승으로 모시고 열정적으로 배운 결과 새로운 역사 단계로 진입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서유럽이 스타게이트를 연 열쇠는 ‘번역’이었다. 유럽인은 미친 듯이 아랍어로 번역된 그리스 고전들을 라틴어로 번역했다. 이미 이슬람권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를 비롯한 그리스 고전들이 아랍어로 충실히 번역돼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세 유럽의 수도원 사서들에게 아랍어 해독 능력은 필수였다. 그리스어에서 직역할 능력이 없었기에 아랍어에서 라틴어로 중역(重譯)한 것이다.
이 대대적인 번역 캠페인을 ‘12세기 르네상스’라고 부른다. 어마어마한 열정으로 수많은 그리스 고전들을 라틴어로 번역했고, 그 노력이 축적된 결과 수백 년 뒤 근대가 밝아오자 이슬람과 기독교 진영의 우열은 역전되고 만다. 나중 된 자가 먼저 되고, 먼저 된 자가 나중 되는 반전의 드라마가 펼쳐진 것이다.
그때 이래로 지금까지 서유럽 문명은 줄곧 우위를 유지하고 있다. 번역으로 후발 문명이 선진 문명을 추월한 대표 사례다.
해마다 한글날이면 한글에 대한 온갖 찬사가 쏟아진다. 하지만 대대적인 콘텐츠 확충을 통해 한국어로 전 세계의 고급 지식과 정보를 마음껏 읽을 수 있도록 하자는 ‘번역 캠페인’은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번역을 통해 변방에서 세계사 주류로 등극한 서유럽의 역사적 사례는 우리에게 아무런 의미도 없는 것일까.
지식정보시대라고 한다. 먼저 된 자와 나중 된 자가 함께 펼쳐진 가을 들판을 바라보며 우리의 미래를 걱정한다.
박상익 우석대 역사교육과 초빙교수ㅣ서울신문 2018.10.10
'[역사예술] 역사 예술 문화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할머니의 지혜 (0) | 2022.05.10 |
---|---|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줄무늬의 이중성 (0) | 2022.05.10 |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스마트폰 삼매경 (0) | 2022.05.10 |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코끼리의 열정 (0) | 2022.05.10 |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금성 라디오 (0) | 2022.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