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산책] 소설 명시 수필 시조 동화

[안도현의 꽃차례] 시란 무엇인가

푸레택 2022. 2. 7. 23:11

[안도현의 꽃차례] 시란 무엇인가 (daum.net)

 

[안도현의 꽃차례] 시란 무엇인가

[서울신문]수십 년 시를 읽고 쓰는 일을 운명처럼 여기고 살았다. 여러 권의 시집을 냈고 나를 시인으로 불러 주는 분들을 많이 만났다. 그런데 최근에 나는 과연 시인인가 하는 의문이 내 안에

news.v.daum.net

안도현 시인


[안도현의 꽃차례] 시란 무엇인가

[서울신문] 수십 년 시를 읽고 쓰는 일을 운명처럼 여기고 살았다. 여러 권의 시집을 냈고 나를 시인으로 불러 주는 분들을 많이 만났다. 그런데 최근에 나는 과연 시인인가 하는 의문이 내 안에서 고개를 내밀기 시작했다. 할머니들이 쓴 시가 나를 뒤흔들었기 때문이다. 논산 한글대학에서 뒤늦게 한글을 깨친 어르신들의 시는 시란 무엇인가를 다시 한번 되묻게 한다. 사람의 마음에 가닿는 일이 시가 지향하는 가치 중의 하나라면 내가 쓰는 시는 그분들의 시에 훨씬 못 미치는 게 아닌지.

흔히 시는 감추어 말하는 것이라고 한다. 직설적인 표현을 피하고 비유에 기대어 말을 하라는 거다. 그러나 비유의 과정을 통과하지 않은 비유 이전의 언어에 오히려 진심이 어려 있을 때가 많다. “아이고 군인 대장인지 알았는디/ 시집 와 보니 대장간집 아들이더라/ 허청에는 호미 낫이 널부러져 있고/ 장정들 세로 매질소리/ 내 귀청 떨어지네/ 일꾼 밥 해주는 일이/ 왜 이리 힘들었던지”(김광자, ‘대장간집 아들’) ‘군인 대장’과 ‘대장간집’의 유사한 음성이 기발한 언어유희를 만들어 낸다. 사실 이 유희 속에는 절망을 끌어안으면서 현실을 인내하는 화자의 슬픔이 내재돼 있다. 이 시는 한낱 푸념이 아니다. 이 어르신의 생애 그 자체다.

무기교의 기교라는 말이 있다. 예술의 영역에서 기교는 멋을 부리거나 자신의 작품을 과시하려는 욕망에서 발생한다. 할머니들이 시적인 기교를 누구에게 배우거나 연습했을 리가 없다. 아예 그 개념조차 염두에 두지 않았을 것이다. 그 덕분에 아무런 치장과 수식이 없는 무기교의 맨얼굴을 선보일 수 있었을 것이다.

“어머니가 하얀 고모신 사오셨다/ 조아서/ 발닥고 새신에/ 발을 꼭 맞추엇다/ 그리고/ 나는 사분사분/ 둑길을 거럿다/ 나비처럼/ 하얀 고모신에/ 흙 무들 까봐/ 고모신 버서/ 가슴에 안고/ 맴발로 맴발로 거럿다”(이범휘, ‘하얀 고모신’)

하얀 고무신을 선물받은 아이의 마음은 발을 닦고 나서야 새 신을 신는 마음이고, 신발의 크기와 상관없이 발을 신발에 꼭 맞추는 마음이며, 고무신에 흙이 묻을까봐 가슴에 안고 둑길을 걷는 마음이다. 이 시가 특히 아름다운 것은 마지막 행 “맴발로 맴발로”의 반복 때문인데 이 반복은 즐거움에 가득 차서 걷는 아이를 실감 있게 표현한다. 이 산뜻하기 그지없는 반복을 지금 이 땅의 어느 시인이 구사할 수 있다는 말인가.


세상은 고차원적인 지식과 정보가 넘치지만 우리는 별로 행복하지 않다. 우리는 단순해지는 법을 잊어버렸기 때문이다. 풍부한 경험과 단단한 이력을 쌓으면서 우리는 딱딱해져 버렸기 때문이다. 맞춤법과 띄어쓰기에 매달리면서 우리의 글들은 기계적인 형식 속에 갇혀 공문서처럼 변해 버렸다.

“백일홍 나무에/ 고운 꽃이 피었구나/ 100일 뒤에는/ 쌀밥을 먹겠구나”(오세연, ‘백일홍’) 백일홍은 배롱나무를 말하는데 여름에 100일 가까이 꽃을 피운다고 해서 백일홍으로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100일 뒤에 가을이 와서 추수를 하게 되고 그러면 쌀밥을 먹게 된다는 이 발견의 눈은 경험이 만든 뛰어난 과학이다. 백일홍의 꽃과 쌀밥 사이의 먼 거리가 이렇게 가까울 줄이야.

문자를 습득하면서 어르신들은 생을 바라보는 관점이 변화됐다. 비로소 다물었던 입을 열고 캄캄하던 눈을 개안(開眼)한 것이다. 한글을 공부하면서 자신의 이름을 되찾게 됐고, 타자를 조금 더 이해하는 눈을 갖게 됐다.

“기푼 산속에 밭 있다/ 깨도 심었고/ 콩도 심었는데/ 토끼가 뜨더 먹었다/ 나는 무엇을 먹을까/ 토끼한데 젓다”(이월영, ‘깨밭’) 세상을 보는 태도, 소재의 착상, 시 창작의 과정, 그리고 그 결과물인 시에 진솔한 마음이 차고 넘친다.

나는 초등학교 6학년 때 사촌형을 따라 도시로 나가 살았다. 어머니가 그때 보낸 편지 속에는 열심히 공부해서 큰사람이 되라는 훈계 따위는 없었다. 내가 기억하는 문장은 “나물 무칠 때 참기름 많이 넣어 먹어라.” 이거 하나다. 이 시집에 실린 시들을 읽으며 나는 그 옛적 우리 어머니의 이 한 문장을 떠올린다. 삐뚤삐뚤한 글씨를 편지지에 적던 어머니의 손과 한 자 한 자 공을 들여 글자를 적었을 할머니들의 손을 생각한다.


글=안도현 시인 / 서울신문 2020.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