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산책] 풀과 나무에게 말을 걸다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기록 끝에 남은 향기

푸레택 2022. 2. 7. 09:17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기록 끝에 남은 향기 (daum.net)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기록 끝에 남은 향기

[서울신문]내 작업실에는 크고 작은 화분들이 있다. 친구가 키우기 힘들다며 준 립살리스와 집들이 선물로 받은 알로카시아처럼 어쩌다 갖게 된 식물들도 있지만 대개는 그림을 그리기 위해 관

news.v.daum.net

 
대표적인 허브식물인 라벤더. 잉글리시라벤더(왼쪽)와 마리노라벤더(오른쪽 위), 프렌치라벤더(오른쪽 아래). 라벤더의 향기는 불면증 해소, 살균, 방충, 두통과 신경 안정에 효과가 있다.


내 작업실에는 크고 작은 화분들이 있다. 친구가 키우기 힘들다며 준 립살리스와 집들이 선물로 받은 알로카시아처럼 어쩌다 갖게 된 식물들도 있지만 대개는 그림을 그리기 위해 관찰하느라 작업실에 들인 식물들이다.

식물세밀화를 그리기 위해서는 식물을 가까이에 두고 꾸준히 관찰해야 한다. 자생식물은 산과 들, 그들이 있는 곳으로 찾아가 관찰하면 되지만 원예식물이나 외래식물은 화분이나 노지에 심어 재배하면서 그들이 자라는 모습을 관찰해 그려야 한다. 그렇게 꽃이 피고 열매가 맺고 또 그 열매가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지나 기록을 마치면 이 식물은 더이상 기록의 대상이 아니라 작업실의 온전한 일원이 된다. 그렇게 가족이 된 서른여 개의 화분이 지금 나와 함께 살고 있다.

화분 중에는 형태 변이를 관찰하느라 받아온 남해안의 해국과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품종을 기록하기 위해 농장에서 받아온 틸란드시아, 그리고 대표적인 허브식물인 라벤더 화분 몇 개도 있다.

상쾌한 향기로 공기를 정화해 주는 허브식물 티트리. 주로 비누와 탈취제 원료로 이용된다.


4년 전 즈음 한 화장품 회사로부터 화장품 원료인 라벤더를 그려 달라는 제안을 받았고, 나는 1년간 라벤더를 재배하면서 형태 변화를 관찰해 그렸다. 먼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허브식물농장에 가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모든 라벤더 품종의 씨앗을 구하고, 화분에 이름표를 달아 품종별로 파종해 관찰했다. 그렇게 1년 동안 라벤더 씨앗으로부터 뿌리와 줄기, 잎이 나고 꽃이 피고 열매가 맺는 삶을 기록해 그림을 완성했다.

그렇게 나의 기록은 끝이 났지만, 그때의 라벤더 화분들은 여전히 내 작업실에 있다. 나는 매년 이들 가지에서 기어나오는, 아직 털이 나지 않은 연한 아기잎을 보면서 이제 정말 봄이왔구나를 실감한다. 작업실에 오는 손님들은 문을 열자마자 나는 라벤더 향기를 맡으며 이게 무슨 향인지를 묻곤 한다.

재밌는 건, 이들이 바질과 로즈메리처럼 음식의 재료가 되는 것도, 캐모마일이나 민트처럼 차로 마실 수 있는 것도 아닌데 내 손은 자꾸만 라벤더 화분을 향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오로지 특유의 짙은 향기 하나만으로 허브식물 중 역사적으로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아 왔다. 로마 사람들은 라벤더 꽃을 목욕물에 섞어 씻었다. 라벤더의 속명 ‘라반듈라’의 ‘라바’는 라틴어로 ‘목욕하다’, ‘씻다’란 뜻으로, 로마시대 라벤더의 인기가 너무 많아 공급이 안 되는 바람에 네덜란드의 튤립 버블처럼 라벤더 꽃이 파운드당 당시 노동자 월급과 같을 정도였다.

라벤더 사랑에 영국을 빼놓을 수 없다. 라벤더 향을 너무 좋아했던 여왕 엘리자베스 1세는 궁궐에 라벤더 납품업자를 따로 두고 자신의 발길이 닿는 모든 곳을 라벤더 향으로 도배 한 것으로 유명하다. 여왕이 좋아하다 보니 영국 내에서도 본격적으로 대대적인 라벤더 재배가 시작됐다. 현재 대중적으로 가장 인기가 많은 라벤더가 잉글리시라벤더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로마테라피가 유입되면서 에센셜 오일로서 라벤더가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허브식물이 알려지기 시작한 초기에는 라벤더 한두 품종만 수입이 됐으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라벤더는 다섯 품종이 넘는다. 내 작업실에는 대표적인 민무늬 잎의 잉글리시라벤더와 가느다란 잎의 피나타라벤더, 잎의 굴곡이 많은 프렌치라벤더, 세 품종의 화분이 있다. 이들 잎은 물론이고 꽃의 형태도, 향의 강도도 모두 다르다.

언젠가 대학원 허브학특론 수업 때 교수님께서 라벤더를 가리키며 “모든 허브식물이 사람에게 이로운 건 아니에요. 식물의 약효가 강하면 강한 만큼 부작용도 있기 마련이에요. 어린아이와 노약자는 허브식물을 이용할 때 주의해야 해요. 하지만 라벤더는 다릅니다. 모든 이에게 무난하게 이로운 식물이 바로 라벤더죠”라고 하셨다.

다른 식물들처럼 요리의 재료가 되지도, 강력한 약효도 없지만 부작용 없이 향기로운, 무난한 허브식물 라벤더. 어제 저녁엔 라벤더의 불면증 해소 효능을 기대하며 잉글리시라벤더 윗잎을 따 베개 안에 넣어두었고, 덕분에 누운 지 몇 분 안 돼 금방 잠이 들었다. 오늘 외출 전에는 가방 안에 피나타라벤더 잎 몇 개를 넣어두었다. 나는 긴 시간 타야 하는 지하철 안에서 가방 속에 손을 넣어 라벤더 잎을 주섬주섬 만지고는 다시 손을 코에 대 그 향기를 맡았다. 피로가 해소되는 기분이었다.

지금 나는 라벤더에 이어 비누의 원료가 되는 티트리를 그리고 있다. 내 앞의 티트리 화분은 오로지 기록을 위한 관찰 대상이지만, 기록이 완성된 후 이들은 청량한 향기로 기분을 정화해 주는 작업실 가족으로 남을 것이다. 그렇게 한 종 한 종 식물 가족을 늘려 가는 것이 식물세밀화가의 삶인가 싶다.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 서울신문 2019.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