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산책] 풀과 나무에게 말을 걸다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우리 집의 스투키는 진짜 스투키가 맞을까?

푸레택 2022. 2. 4. 16:33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우리 집의 스투키는 진짜 스투키가 맞을까? (daum.net)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우리 집의 스투키는 진짜 스투키가 맞을까?

[서울신문]나는 꽃 시장에 가는 걸 좋아한다. 어여쁜 화훼식물들을 구경하고 설레는 마음으로 함께 지낼 식물을 고르고, 꽃에 물을 주거나 조심스레 그들을 다루는 사람들을 보는 것을 좋아한다

news.v.daum.net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우리 집의 스투키는 진짜 스투키가 맞을까?

[서울신문] 나는 꽃 시장에 가는 걸 좋아한다. 어여쁜 화훼식물들을 구경하고 설레는 마음으로 함께 지낼 식물을 고르고, 꽃에 물을 주거나 조심스레 그들을 다루는 사람들을 보는 것을 좋아한다. 꽃 시장은 인간이 만든 도시의 식물 숲과 같다. 우리 산과 들의 야생화부터 저 먼 아프리카 사막의 가시 돋친 선인장까지, 사람들의 선택을 기다리는 세계의 다양한 식물들이 살고 있다.

실린드리카 산세비에리아(왼쪽)와 스투키 산세비에리아(오른쪽). 실린드리카는 잎 단면이 원이고, 스투키는 홈이 파여 있다.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스투키는 사실 대부분 실린드리카다.


식물을 공부하면서부터 서너 달에 한 번은 꼭 꽃 시장을 찾았다. 어떤 식물이 새로 들어왔는지, 사람들이 많이 찾는 식물은 무엇인지 이곳을 걷다 보면 금세 알 수 있다. 꽃 시장의 인기 식물은 늘 변화해 왔다. 어느 해에는 다육식물이, 또 어느 해에는 틸란드시아와 같은 공중식물이 꽃 시장을 가득 메웠다. 이런 흐름 속에서 베스트셀러로, 아니 이제는 스테디셀러로 꽃 시장의 한 면을 채워 가는 식물이 있다. 바로 스투키다. 몇 년 전 우리나라 꽃 시장에 출현한 스투키는 상점을 하나둘 장악하더니 어느 상점에서든 판매하는 인기 종이 되어 버렸다. 재배가 쉽고 공기 정화 효과가 좋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로렌티 산세비에리아.


스투키의 원래 이름은 스투키 산세비에리아다. 산세비에리아는 우리에게 익숙한 이름인데, ‘산세비에리아’라는 이름으로 불려 온 로렌티 산세비에리아가 공기 정화 효과가 좋은 관엽식물로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스투키와 로렌티는 같은 산세비에리아속 식물로 친척뻘이고 비슷한 형태와 성질을 가지고 있다. 늘 스투키라는 이름으로만 부르기 때문에 산세비에리아속 식물이라는 걸 알아채기 어렵지만 말이다.

이 둘은 산세비에리아, 영어 이름 스네이크 플랜트(Snake Plant)다. 형태는 다르지만 잎의 무늬는 많이 닮았다. 뱀 무늬처럼 잎에 녹색과 연두색의 줄무늬 자국이 있는데 이 때문에 스네이크 플랜트, 뱀 식물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뱀 식물들의 고향은 인도와 아프리카의 사막 지역이다. 이들의 잎이 다른 관엽식물보다 두꺼운 건 건조한 환경에서 수분을 저장해 둬야 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잎을 관상하는 관엽식물이면서 사막에 살던 다육식물이기도 한 셈이다. 이들이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아지게 된 건 탁월한 공기 정화 효과와 음이온 발생 능력 때문이었다. 다른 관엽식물보다 음이온 발생률이 2~3배 강하다고 알려진 이후부터 사람들은 로렌티 산세비에리아를 재배하기 시작했고, 우리나라에서도 새집증후군이 이슈가 되면서 인기가 크게 늘었다.

처음에는 로렌티 산세비에리아가 대세였으나 스투키 산세비에리아가 우리나라 화훼시장에 나타나면서 사람들은 집들이, 개업 선물로 스투키를 많이 사기 시작했다. 스투키는 로렌티보다 물을 자주 주지 않아도 되고, 재배가 수월하니 사람들이 좋아할 수밖에 없었다. 꽃 시장에서는 이 기다랗고 동그란 원뿔형의 스투키만 판매하는 상점도 생겼고, 기다랗기만 한 잎이 지루했는지 어느 순간부터는 잎을 땋아 만든 변형 스투키도 판매하기 시작했다.

그즈음 나 역시 작은 스투키 화분을 선물받았고, 이를 침대맡에 놓아 두고 지냈다. 그러던 어느 날 문득 이들의 재배 정보가 궁금해 스투키와 관련된 외국 논문들을 뒤지다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내 방의 스투키가 여러 자료의 스투키와 달랐던 것이다. 내 방의 스투키는 스투키보다는 실린드리카라는 다른 종에 가까웠다. 이런 오류는 내 방의 화분에만 해당되지 않았다. 자료를 찾을수록 꽃 시장에서 보았던 스투키가 대부분 실린드리카 산세비에리아라는 걸 알 수 있었다. 스투키라고 알고 있던 식물이 스투키가 아니라니.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걸까?

먼저 실린드리카는 스투키와 로렌티처럼 산세비에리아속 식물 중 한 종이다. 이들은 우리가 아는 스투키의 형태 그대로, 긴 원뿔형이다. 우리가 떠올리는 스투키가 바로 실린드리카이고 진짜 스투키는 실린드리카와 비슷하지만 잎에 깊은 홈이 파여 있다. 이렇게 분명한 형태 차이가 있는 두 식물이 왜 모두 스투키로 판매되고 있던 걸까.

아직 확실한 현황 파악은 안 되고 있지만, 스투키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비슷하게 생긴 데다 생장도 빨라 재배량을 늘릴 수 있는 실린드리카가 스투키라는 이름으로 유통되기 시작했고 재배량도 늘면서 아예 스투키로 둔갑됐다는 걸 추측만 할 수 있을 뿐이다. 게다가 요즘은 잎을 배배 땋은 형태뿐만 아니라 주황색, 파란색 등 화려한 색의 페인트로 잎을 칠해 판매하기도 한다. 이들의 자연스러운 꽃과 열매의 색이 페인트에 가려지는 게 아쉽지만, 재배자와 유통업자들이야 소비자가 원하는 대로 판매하는 것이니 누굴 탓하겠는가.

잎을 땋고, 페인트칠을 하고, 다른 종의 식물을 인기 있는 식물로 둔갑시키는 행태는 식물을 향한 인간의 욕망을 그대로 보여준다. 앞으로 스투키는 얼마나 더 변형되고 확장될 것인가. 내 방의 실린드리카 화분을 가만히 들여다보며 생각했다.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서울신문 2018.06.07